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내 영혼 축복의 땅. 광야에서

행정 선교사 본문

선교 열방/선교

행정 선교사

อารีเอล 아리엘 ariel 2010. 1. 28. 21:58

행정선교사 자질론 및 선교행정의 기본 구조와 원리
제3기 선교행정학교
행정선교사 자질론 및 선교행정의 기본 구조와 원리
강승삼 목사 / KWAM 사무총장
(02-3280-7981, sskang@kwma.org)

Ⅰ. 선교 본부 행정 사역자(선교사)의 자질론
A. 선교 본부 행정 사역자의 숙지 및 이해하여야 할 사항
1. 선교신학의 숙지
2. 선교사와 선교지 상황, Trends, Issues 및 필요(Needs) 파악
3. 교회와 후원자들의 상황과 필요(Needs) 파악
4. 세계의 전반적 상황 파악

B. 선교행정 사역자(선교사) 자질에 대한 성경적 관점
성경에는 선교사의 자질을 꼭 집어서 명기한 곳은 없으나, 구약의 선지자들을 통해서 묘사된 메시아 “여호와의 종 ”의 특징과 신약의 영적 지도자의 자질(딤전3:1-7)을 소개한다. 선교사는 오늘날 여호와의 종으로서 지상 명령의 사명을 받았으므로 이에 상응한 자질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1) 구약의 선지자들을 통해 묘사된 “여호와의 종”의 특징(강승삼1998)
① 신적 소명
여호와의 종은 그 사명 완수를 위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사6:1-9, 렘1:5-6, 겔 1:1).
② 성경적 인격과 성품의 삶
여호와의 종은 세상의 죄의 공해로부터 분리되어 거룩하신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하기를 원 하신다(사6:5-8, 벧전1:15,16, 렘1:5, 겔1:28).
③ 신적 사명 부여
여호와의 종은 여호와께로부터 사명을 부여받았다. 요나도 니느웨 성에 가서 하나님의 명을 선포하라는 임무를 부여받았고, 구약의 모든 선지자들은 그 사명을 부여받았다(사6:8-9, 렘 1:6, 단2:45, 겔2:9상).
④ 성령의 능력을 받음
여호와의 종은 그 임무 수행을 위해 성령의 능력을 받는다(사50:7-8, 렘1:19, 단2:18,19, 겔 3:14).
⑤ 신적 보호를 받음
여호와의 종이 그 사명을 다 감당하기까지 여호와께서 보호, 보존하시고 생명을 유지시키신 다(사6:11-13, 렘1:8, 단 6:22, 겔3:8,9).
⑥ 신적 인도하심을 받음
여호와의 종은 순간 순간 그 삶과 사역 수행을 위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받는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시하시고(direction), 고쳐주시고(correction), 계시하여 (revelation)주신다(사6장, 렘1-4장, 단1:17, 겔11:24)
⑦ 겸손히 섬김
여호와의 종은 겸손(humility)과 범절(propriety)로 하나님을 섬길 줄 안다(사2:11, 렘1:7-9, 단10:12, 겔4장).
⑧ 세상으로부터 거부를 당함
여호와의 종은 자기가 부여받은 사명 때문에 불신 세상에 의해 배척당할 것을 알고, 또한 내 침을 받으면서도 그 임무를 수행한다(사1:1-4, 55:3-6, 렘1:19, 단6장, 겔3:5).
⑨ 사명을 완수함
여호와의 종은 세인들과 악령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국 그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친다(사 6장, 43:19-23, 렘15:16, 단12:13, 겔3:16,39장). 그 종이 죽음을 언제 어떤 방법으로 맞이하였 든 간에 여호와께서 종의 삶이 성공적이었다고 선언해 주실 것이다.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마25:21)라고 우리의 대장 예수 그리스도께 칭찬을 받게 될 것이다.
(2) 신약에 묘사된 영적 지도자의 자격(딤전 3:1-7을 중심으로)
오스왈드 샌더스는 영적 지도력(Spiritual Leadership)에서 영적 지조자의 여섯 가지 자격을 말 한다.(Sanders, 1980).
① 사회적 자격
영적 지도자는 책망할 것이 없고(딤전3:2), 외인에게 선한 증거를 얻으며(딤전3:7), 나그네를 잘 대접하고(딤전3:2, 딛1:8), 선을 좋아하는 자(딛1:8)이어야 한다.
② 도덕적 자격
한 아내의 남편의 책무를 다하고(딤전3:2,3, 딛1:6), 술을 즐기지 않고(딤전3:3), 싸우지 않는 (딤전3:3) 도덕적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③ 정신적 자격
자신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딤전3:2).
④ 인격적 자격
인간 관계에서 원만하고 관용하며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인격이어야 한다(딤전3:3, 딛1:7).
⑤ 가정 생활의 자격
자녀들을 주의 교양과 훈계로 양육하고(엡6:4), 자기 집을 잘 다스리는 자(딤전 3:4)이다.
⑥ 성숙한 자로서의 자격
선교사는 영적 지도자로서 신앙의 뿌리가 확고해야 하며(딤전3:6), 하나님의 뜻을 좇아 의롭 게 살고 올바른 판단을 할 줄 알고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추구하며(마6:33), 물질의 유 혹을 이기는 자(딛1:7, 벧전5:2)이어야 한다.

C. 선교행정 사역자의 기본적인 자질
1) 세 가지 소명의식과 하나님과의 동행
a. 구원을 위한 소명 -- 진정한 회심의 경험 (하나님의 자녀 확신)
- 갈1:6 그리스도의 은혜로 너희를 부르신 하나님
- 갈1:5 은혜로 --- 나를 택정하시고 부르신
- 고전7:17-18 어떤 신분이나 직업가운데서도 그리스도 안에 있는 믿음으로 소명 받음.
b. 교회를 세우고(building-up) 사역(ministry)을 위한 소명(사역의 도구로 사용)
c. 타문화권 선교사의 소명(행13:1-3) 및 전 신자의 선교사의 소명
나의 확신, 교회의 확인, 하나님의 인도 및 전 성도의 선교사의 태도
d. 복의 근원(통로)의 확신(창12:1-3)

2) 영적 성숙(Spiritual Maturity)의 삶
- 하나님과 동행하며 성령의 열매를 맺는 삶이다.(성령의 9가지 열매)
- 왜 선교사(목사 + 평신도)의 영적 성숙의 삶이 필수적인가?
a. 선교지에서는 나를 가르쳐 줄 분이 거의 없다.
b. 선교지에서는 선교사가 어찌됐건 지도자 역할 하게 된다.
Eg. 바리새인 선교사(마23장)의 잘못:(외식)
i. 성실성 결여 --- 자신이 가르친 것 스스로 행치 않는다.
ii. 자기가 돕지 않으면서 타인에게 무거운 짐 지움
iii. 일할 때 타인의 칭송 받을 일만 골라했고
iv. 사랑하기보다 질투를 드러냈고
v. 사소하고 외적인 일에 너무 많은 신경을 썼고
vi. 자신들의 잘못(죄) 발견할 줄 몰랐다.
c. 협력사역/팀 사역에서 자기 이기심과 개성이 나타난다.
- 말씀, 기도, 성령으로 내 못된 성격 눌러야 한다. 영성이 저하되면 결국 팀정신이
깨지고 실패한다. Eg. 18년 후 실패한 선교사의 예

3) 기꺼이 섬기려는 자세(Servant Attitude)--사회적인 면(관계 중심)
- 막10:45 인자의 온 것은--?For even the Son of Man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e for many".
- 빌2:5-11
(1) 종의 자세 확인하는 방법
Eg. 능력 있는 설교자를 조그만 성경공부반 모임 맡도록 요청
Eg. 본국에서 명망 있는 목사를 선교지의 Guest House 관리직
(2) 섬기는 자세는 마음의 온유와 겸손
(3) 가정 사역관계 (4) 교회 사역과 관계 (5) 선교단체와의 관계
(6) 동역자들과의 관계 (잘치는데 매집이 약함!)
(7) 외국 사역자들과의 관계 (비굴도, 교만도 말고, 겸손히, 당당하게)
(8) 현지인들과의 관계 -- 섬김. 종
(9) 후원자/교회와의 관계

4) 자기 훈련(Self-Discipline)--Q.T., 기도, 전도, 양육(제자훈련) 등
- 시간 사역, 일의 규칙성, Balancing, 매일 하나님과 동행의 삶이요 하나님을 의지하는
삶 (대하16:9)

5) 전도(영혼구원)에 대한 열정과 실재

6) Spiritual Warfare에 대한 이해

7) 인격적인 준비
(1) 성경과 신학
(2) 폭넓은 지식 -- 일반 학문(성숙한 지도자)
(3) 언어/국제어/현지어
(4) 선교사의 지적 교육에서 4가지 주의 사항
① Priorities
② Pride
③ Indebtedness
④ Stagnation
(5) 다른 사람들과의 나눔(롬1:11-12) -- 세계를 품은 그리스도인
(6) 삶과 사역의 경험(일반, 교회, 기타 경험)

8) 정서적 안정성
(1) Personality(성격, 개성) - 대인관계 원활하게 해주는 성격, 대중적 이미지, 태도와 행동, 행동기법과 기술 즉 ①인간관계의 각종 기법 ② 적극적 사고방식
(2) Character(인성, 성품) - 언행일치, 겸손, 충성, 절제, 용기, 정의, 인내, 근면, 소박 즉

①자기 본성에 깊이 감춰진 내면적 원칙(기본원칙) + ②행동으로 나타
나는 습관(기본성품)으로 이루어짐.
(3) Emotional Maturity 평가 기준(Dr. Cox)
a. 면담과 검사를 통해 변화를 찾아내는 능력
b.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
c. 압력에 대한 대처
d. 비판에 대한 수용도
e. 선교사 생활의 수많은 다른 측면에 대한 수용 능력
(4) 사리분별력과 건전한 자아상 -- 자기수용과 타인수용
(5) 가정환경조사는 선교사 후보자에게 꼭 조사돼야만 한다.
a. 불신가정 배경인가? b. 부모/본인의 이혼 여부
c. 전쟁의 경험? d. 마약 복용 경력?
(6) 정서적 미숙함이 잘 나타나는 생활 영역과 부정적 정서처리 필요
a. National(Tribal) pride
b. 자신의 Identity에 대한 의문 - 현지 문화에 적응 때 나타난다.
고독감, 염려와 두려움, 죄의식, 분노, 용서치 못함, 낮은 자존감, 낙담, 침체

9) 의학적 적합성(Medical Fitness) 여부 검진
- 선교사는 어떤 경우보다 더 Stress 많이 경험하기 때문.
Eg. 타문화, 언어적응, 음식문제, 일기문제, 법적 신분문제, 환경문제, 위험문제,
의료문제

10) 언어에 대한 동기 유발

11) 사역의 전문성(자격증, 경험)을 소유하고 있나?

12) 타문화권 적응 능력과 훈련

D. 선교행정 사역자의 사역적인 자질
1. 선교행정 사역의 중요성 이해
2. 영적 경영자로서의 정신과 주인 의식
3. 섬김(하나님 나라, 교회, 선교사, 선교기관 등)의 원리를 실천하는 장(場)의 이해와 실천
4. 조직관리에 대한
5. 프러젝트 보다 사람중심의 사고
6. 신축성과 효율성의 판단력(은혜와 진리 추구)
7. 사역 자질에서 첨가 사항
1) 어떤 일이건 끝마무리를 해 본 사람인가? (인내심)

2) 새로운 일을 시작해 본 일이 있는가?
교회개척 경험, 목회경험, Teaching 경험, 자발성, 대인/정부관계

3) 팀 안에서 일할 수 있는가?
- 인간관계 중시
- 선교사 팀의 공동 목표 지향적
- 현지인 지도자들과도 동역 하면서 순복 자세
4) 선교지에서 접촉하기 어려운 사람들과도 함께 일할 수 있는가?

5)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는가?

6) 사람들이 나를 잘 찾아오는가?
① 신임 ② 만나서 푸근 ③ 의논대상 인정
- Legalist 또는 흑백논리로 되면 안된다.

7) 분명하게 의사전달을 할 수 있는가?
① Clearly ② 언어실력

8) 자기 가족을 잘 돌보는가?
① 원만한 가정생활 ② 의사소통 ③ 부부 동역관계

9) 기타 문제 : 性의 문제, 독신, 결혼, 슬픔, 취미/관심거리, 자녀문제, 이단숭배경험,
편견과 갈등의 문제들



Ⅱ. 선교의 기본 구조와 행정원리

1. 선교행정의 기본 구조

1.국내교회 -> 2.선교사 -> 3.선교부 -> 4.교회현지


상호존중 -- 상호봉사 -- 상호이해 -- 상호신뢰

2. 선교운동의 조직형태
가. 교회(교단) ----- (1) 보내는 주후원교회 (2) 협력 지원하는 교회 (3) 사역을 분담하는 교회
나. 선교단체 -- (1) 교단 선교부(회) (2) 초교파 선교단체
(3) 독립 선교단체 (4) 협력 선교단체
다. 선교사 ---- (1) 전도, 교회설립, 교육, 홍보(문서, 발송 등) 지역사회 개발, 의료 등
(2) 해외교포 전도, 교포교회 설립, 교포교회 목회
(3) 대 공산권 활동(통신, 방송, 방문, Bridging people접촉)
(4) 평신도의 간접 선교 활동
(5) 평신도의 선교 현지 보조 활동
(6) 국내 외국인 (근로자) 선교활동
라. 선교지부 --- (1) 현지 선교사 임지 배정 및 휴가에 관한 업무
(2) 선교사 후보의 선교지 현장 교육 실시
(3) 현지 선교사의 지도 감독 및 관리
(4) 교회 및 신학교 설립과 현지 사역자 양성
(5) 분기별 종합 정기보고 -- 활동 및 재정, 특별 활동 등
(6) 선교 재정의 관할과 선교부 재산의 관리
(7) 선교 활동의 확장과 사업비 청원
(8) 현지에 적합한 선교전략 및 정책의 연구 개발
(9) 선교 목표에 대한 장, 단기 계획 수립과 평가
(10) 기타 관련 업무
마. 상호 협력 체계
국 내/ (1) 교파 (2) 비교파 (3) 독립
선교지/ (1) 선교사간의 협력
(2) 선교기관 상호 간의 협력
(3) 선교 기관과 현지 교회와의 협력
(4) 선교지 정부와의 협력관계

3. 선교정책(Policies for Missions)
- 정책이란 우리가 어떻게 목표를 달성하는가를 설명해 주는 것이다.
- What + How
1) 신조에 관한 정책(Creed + Faith)
- 한 선교단체의 기본적인 신앙고백(신조)이 일치해야 된다.
Eg. 선교신학
Eg. 가입할 때 신조에 서명한다.
Eg. 세례의 방법
Eg. 종말론, 성령론, 교회론 등
2) 관계에 관한 정책(Relational Policy)
(1) 어떤 성격의 교단/교회 출신들을 회원 선교사로 받을까?
(2) 선교사의 허입과정에서 파송교회의 역할은 무엇?
(3) 선교사와 그 사역을 지도하는 일에 있어서 교회의 역할은?
(4) 파송교회는 어떤 종류의 보고를 받나?
(5) 선교사 후원 수준은 어느 정도?
(6) 선교기관과 현지교회와의 관계 정책 필요
a. Pioneering Stage
b. Parenting "
c. Partners' "
d. Under the local Leadership(Participant stage)
e. Missionary Sending Stage
(7) 선교회의 선교지 교회에 대한 정책?
(Eg) 三自운동(자전, 자립, 자급)
(8) 선교회가 선교지 교회와 어떤 협력?
(Eg) PCK-SIM/AIM/WEC
3) 선교사의 재정 정책 -- Credibility Accountability
(1) 시초부터 재정원칙 세워야 한다.
(2) 모금(Fund Raising), 개선교사, 파송단체의 사역목표액
(3) 선교재정의 보고 책임
(4) 재정관리의 정확성 유지
(5) 재정의 지출 방법
(6) 수입과 지출의 준행은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4) 지도체제에 관한 정책
(1) 최고 책임자는 누가 선출? 설립자? 이사회의 임명?
(2) 이사회 구성한다면 이사 임명권은?
(3) 선교현지지도자와 이사회는 어떻게 임명?
5) 선교사 인사정책
(1) 선교사 허입 통로
(2) 선교사의 자격
(3) 선교사의 사임조건과 징계 문제 (정회원, 준회원, 협력회원)
(4) 단기/장기
(5) 자비량, 전문인 사역자
(6) 선교사의 목회적 배려
(7) 선교사의 현지 관리
(8) 선교사의 위기 관리
(9) 선교사 계속교육

4. 선교관리 행정의 실제
가. 선교사 관리 행정
(1) 선교사의 선정 (2) 선교사의 훈련
(3) 선교사의 지원 (4) 선교사의 파송
(5) 선교정책의 수립 (6) 선교사 및 가족의 보호와 자녀교육 정책
(7) 선교 지부행정 강화 (8) 선교사 의료 관리 및 퇴직 후 정책
나. 후원교회 선교 관리 행정
(1) 선교열의 고취 (2) 선교교육의 실시
(3) 선교 홍보의 지속 (4) 선교 집회의 개최
(5) 선교 부서의 조직 (6) 선교 헌신자의 육성
(7) 선교 재정의 지원 (8) 선교 현지의 시찰
(9) 선교본부와의 정책적 관계 지속 (10) 선교사 안식관
다. 선교본부의 선교지 관리 행정
(1) 선교지부 조직 및 선교사 및 지부 관리행정과의 긴밀한 유대
(2) 협력을 위한 상호 신뢰 조성
(3) 협력을 위한 약정 체결
(4) 이해와 신뢰의 증진
(5) 상호 방문
(6) 인사 Care
라. 타선교 기관과의 협력
(1) 정기적 회집 (2)정보의 교환
(3) 중복과 경쟁의 공동 방지 (4) 부실단체 출현의 공동 방지
(5) 가능한 협력 방법 공동 모색
마. 선교지에서 타선교 기관과의 협력 모색
(1) 한국 선교단체 상호 간의 협력
(2) 제3국 선교단체와의 협력
(3) 전통적 국제 선교 단체와의 협력

5. 한국교회 선교동원 전략시스템 분석(강승삼. 32-52)
가. 지양해야 될 선교 유형들

나. 바람직한 선교 관계유형들

다. 역동적 선교 관계시스템의 유의사항

라. 교회의 성경적 선교 동원시스템 제안
1) 교회를 5개 목표의 구조로 갱신한다.
① Worship, ② Ministry(이웃사랑, 봉사 등), ③ Holistic Evangelism/Mission,
④ Discipling(성숙과 Equipment), ⑤ Fellowship (한몸)
- 목회자의 의식변화 - 교회전도(선교)위원회 활성화
- 교회의 선교단체 지원 - 교회와 선교단체간 헌신자 영육관리 체제 구촉
2) 교회 선교의 주도적 입장 지향
3) 도시와 각 지역에 선교 network
4) 학생선교운동은 그 헌신자들을 각 지역 network로 연결 조정할 것
5) 각 지역 network는 각 교회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헌신자드을 선교사양육, 보모 역할 을 할 것
6) 선교훈련을 위한 협력할 것. 최초에는 LMTC(Local Missionary Training Courses)


6. 선교사 인사 멤버 Care 종합단계
a. 후보심사 절차
GMS 선교사 되기 과정 사례


1) 필요한 인물의 선택
① 어떤 사역을 할 선교사를 선택? Preaching, Teaching, Serving
② Calling의 확신 유무/정도
③ 하나님의 선택 “내가 너희를 택하여 세웠나니---”
2) 모집
① 주님의 모집자 사6:8, 눅9: 마28:18-21
② 사람이 응답, 선택권
3) 요구되는 선교후보자
① 선교지의 필요 list 작성
② 필요시기
③ 그 선교사를 지도할 사람이나 선교사
4) Team 선교/현지사역에 정말 적합한가?
(Eg) Paul, Barnabas, Mark
5) 교회/교단 선교부와 선교단체와의 협력
① 거룩한 삼각관계
② 거룩한 사각관계
③ 거룩한 이중 삼각관계
6) 기본적인 심사(1차) 및 훈련과정
7) 후보자 심사서류
① 이력서(가정환경, 교육, 훈련, 경험, 자격증 등 포함)
② 신앙간증
③ 선교사 지원 동기
④ 건강 진단서
⑤ 기타 서류(교회, 노회 등)
⑥ 참고인 진단서
8) 심사위원회

8. 가장 중요한 시기
첫 Term. 그 중에도 첫 2년간이 가장 중요
그러므로 2년 이전에는 천재지변을 제외하고는 국내 호출되어서도, 다른 곳에 가서도 안되고, 현지적응에 열중하여야 한다.
1. 주거문제 - 지부
2. 언어
3. 문화충격
1단계 Tourist Stage
2단계 Rejection Stage -- Culture Shock
3단계 Assimilation Stage
그러므로 선교사의 목회적 차원의 Care가 필요하다.

9. 선교사의 목회적 관리와 사역감독(Supervision and Pastoral Care for Missionaries)
(죠이. 백인숙역. 241-285)
1) 선교사 관리의 범위(가정, 영적생활, 사역)
2) 선교사 관리의 지침
① 누가 선교사들을 관리할 것인가?
(선배 선교사, 순회선교사, 기존 선교단체들, 현지교제권 현지인들)
② 선교사 관리감독의 빈번도
③ 선교사 관리감독에 대한 특별기준
④ 창의적접근지역의 선교사 관리
3) 선교사 관리를 위한 전략
4) 선교사의 현지훈련과 감독(Field Orientation)
5) 선교사의 목양(Pastoral Care)의 필요
- 타문화 스트레스
- 상황의 변화에 직면하는 문제들
- 위기상황
6) 선교사의 목양의 범위(271-283)
7) 결혼과 독신
8) 현지인 성도들과의 관계
9) 선교사역 평가제(갈2:2)
10) 권징

10. 대 정부관계(한국, 현지)
1) 여권 - 외화관계
2) 비자
3) 등록
4) 소득세
5) 현지인의 고용
6) 시민권, 영주권과 외화송금
7) 정치/사회 참여
8) 폭력, 테러리즘, 납치와 인질 - 선교사의 비상사태 관리
9) 출생, 결혼, 사망

11. 선교사와 건강 및 의료문제
1) 선교지에 파송되기 전
2) 선교지에서 사역하는 동안
① 휴식
② 휴가
③ 건강예방책과 응급조치
a. 예방약 복용
b. 현지의 식수 및 식사
c. 뱀, 전갈, 모기, 기타 충해 예방
d. 응급 조치
e. 의료보험
④ 정기검진
⑤ 임신과 출산
⑥ 본국사역(안식년)의 목적
⑦ 은퇴연령 이후의 사역

12. 선교사의 자녀교육
1) Korean Identity 2) World Christian 3) Potentiality of International Leadership
∴大學敎育은 한국에서 실시함을 권장한다.

13. 선교사의 보고
1) 기도편지
2) 선교보고
3) 선교재정보고
4) 정기 간행물

14. 선교사와 미전도종족 리서치 및 정보사용 network







Ⅲ. 선교단체의 신용평가 지표의 구성

선교단체의 신용평가는 크게 7개 영역으로 나누어 정리한다. 이 7개 영역의 모든 틀은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 주관으로 2년 동안 여러 차례 협의를 거쳐 정하였다. 2005년도 후반기부터 우선적으로 선교단체 선교신용평가단이 자체적으로 구성하여 각 단체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이 7개 영역을 설명한 것은 UPMA총무를 역임한 조명순 선교사의 노고이다.

1. 선교정책과 전략
선교단체는 그 단체만이 갖고 있는 철학과 목표가 있어야 한다. 이것은 그 단체의 정체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정체성이 바르게 세워질 때, 구심점이 형성되고 그 구심점을 중심으로 사역이 성숙되고 조직도 발전하게 된다. 여기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점검한다.

(1) 선교신학(예수의 유일성/ 복음의 건전성/ 상황화)
선교단체는 하나님께서 허락하셔서 세워지고, 또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세워진 기관들이다. 그래서 바른 신학은 매우 중요하다. 세상단체와는 다른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단체에 건전한 ‘선교 신학’이 존재하는가를 점검해야 한다. 기조로 흐르고 있는 선교신학이 어떤 노선인지도 점검한다.

(2) 선교단체 운영이념(헌장)의 존재 여부
건전한 신학 노선을 갖고 있다면 바른 신학 위에 그 단체는 하나님 나라의 어떤 부분을 담당하기 위해 세워지고 운영하고 있는지, 설명된 이념이 있는가를 본다. 그러한 이념이 명문화 되어 있어야 한다.

(3) 설립목적 및 목표의 명확성
목적이나 목표는 반드시 명문화 되어 있어야 한다. 목적이나 목표가 있어야지 단체의 성격이 명확해지고, 그 목적이나 목표에 맞추어 사역의 방향을 일관되게 이끌어 갈 수 있다.

(4) 이념에 대한 실천 정도
성문화나 이념과 목적, 목표를 갖고 있다해도, 실제로 그렇게 단체가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5) 비전과 리더십
설정된 비전과 그것을 이루기 위한 리더십 자세는 주요한 평가 요소이다. 리더십이 비전에 맞추어 단체를 이끌어 가고 있는지, 사적인 목표로 단체를 이끌어 가고 있는지 점검해 보아야 한다.

(6) 조직구성원 개인의 소명 의식 소유 정도
단체를 실제적으로 이끌어 가는 원동력은 조직을 이루고 있는 실무 개개인들이다. 이들의 헌신도나 조직에 대한 충성도는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된다. 실무진들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개인의 소명의식이 기초를 하고 있다. 기독교 단체에서 일한다고 해서 모두 소명의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나라의 사역에 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는 확신이 강한 구성원들이 많은 그룹일수록 견고한 결속력을 갖게 한다.

(7) 조직 구성원의 단체 비전에 대한 숙지도
단체가 가고자 하는 이념이나, 철학 그리고 비전을 공유하는 정도가 매우 중요하다. 리더만이 비전을 이해하고 있거나, 조직 구성원의 일부만이 그 비전을 이해하고 있다면, 그 단체는 보이지 않는 갈등이 있다고 보아도 틀리지 않는다. 결정권이 없는 구성원이라 해도 비전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고, 외부인이 조직 구성원의 어느 누구에게 물어도 단체의 비전, 목적 등을 분명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8) 공유되고 있는 단체 가치관 소유 여부
단체의 가치관이 구성원 모두가 나누고 있어야 한다. 리더나, 일부 중간 리더만 갖고 있어서는 안된다.

(9) 비전이 업무 수행에 주는 영향력 정도
좋은 비전은 건전한 자긍심을 갖게 한다. 또한 건전한 자긍심을 일에 대한 성취력과 활력을 가져다 준다. 단체가 갖고 있는 비전에 대한 자부심이 조직 구성원안에 뿌리내려져 있고, 그러한 분위기가 그 단체에 흐르고 있다면 그 단체는 긍정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10) 정보 자원의 확보 및 공유 전략


2. 선교행정(인사ㆍ사무)

2-1 인사
(1) 조직과 운영의 합리성
행정은 합리성을 요구한다. 기독교 단체의 맹점은 ‘사랑과 은혜’와 ‘합리적 사고’에 대한 선이 그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그러나 조직은 조직이다. 그래서, 운영에 대한 일정한 룰(규칙)이 있어야 한다. 그 단체가 일정한 운영 규정에 의해 움직이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2) 인적 자원 전략적 배치/사역의 연속성
소명과 헌신으로 사역에 임하는 것이 대부분 기독교 단체가 갖고 있는 특성이다. 구성요원들은 나름대로 하나님 앞에서 사역한다는 기본적인 자세를 갖고 들어오는데, 이들의 은사가 충분히 발휘되는 자리에 배치되지 않으면, 구성원들이 오래 사역하지 못한다. 사역자들의 사역 연수가 적어도 3년 이상의 연속성을 갖고 있는지 본다. 사역자들이 자주 바뀌고 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단체가 스스로 점검한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갖고 있는가?

(3) 선발, 허입 방법의 적법성
사역자들의 선발이 적절한 인터뷰와 기준에 의한 것인지, 단순한 인맥을 통한 선정인지 본다. 리더십의 한 개인의 추천이나 top down식의 인사방법은 조직을 건전하게 하지 못한다.

(4) 허입된 인적자원 배치의 적절성(은사, 업무량)
은사별로 배치되어 사역하고 있는지는, 그 부서에 배치된 구성원의 만족도에 따른다. 만족하지 않는 구성원이 많이 있다면, 그 단체는 건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업무량이 한 두사람에게만 집중되어 있어, 바쁜 사람만 바쁘고, 한가한 사람은 시간만 버리고 있는지 봐야한다. 또한, 단체의 규모나 예산에 비해 너무 많은 인원이 있어서, 사장되는 인적자원이 있는지가 평가대상이 된다.


(5) 선교단체 지도자, 본부사역자 선임 방법
선교단체의 지도자선발을 위한 위원회가 조성되어 있는지, 또한 지도자를 뽑는 자격 조건이 명시되어 있는지 본다. 본부 사역자도 이론만 갖고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현장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사역하고 있는지 본다. 이것은 선교 현장을 이해하는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름해 볼 수 있는 척도가 된다.

(6) 개인발전 지원(교육, 훈련, 영성관리, 리더십 개발)의 만족도 및 효율성
구성원들이 정체되지 않도록, 업무에 맞는 훈련이나 교육에 단체가 지원을 하고 있는가? 교육을 위한 재정적, 시간적 지원이 규정화 되어 있는지, 발전을 위한 구성원끼리의 내부 세미나나 MT가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는지 평가한다.

(7) 업무 능력의 전문성(숙련도, 학위, 경력, 현지 경험, 자격증, 언어 등)
조직 구성원들이 은사 이외에도 ‘자리’나 ‘업무내용’에 맞는 경험과 경력을 갖고 있는가? 평가한다. 전문성이 있는 사람이 적절하게 배치될 때,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8) 인사 배치 관계 Communication
인사 정책에 리더십만이 관여하고 있는지, 구성원의 의견이 반영되고 있는지 평가한다.

(9) 업무태도(책임감, 협조성)

(10) 선교사 사역 관리 정도

2-2 사무
표율적인 사무 시스템은 조직 내의 자잘한 시간을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으며, 조직구성원들에게 필요 이상의 스트레스를 막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된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는 행정을 바쳐줄 수 있는 사무기기의 비치를 점검하고, 다중 리더십으로 인한 불필요한 결제 체제가 되어있는지 점검한다.
또한 본부 사역자들의 업무가 선교사들과 어떻게 돕는 체제로 되어 있는지, 한 명의 본부 사역자가 몇 명의 선교사를 돕고 있는지 체크하여 본다.
이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영역을 평가한다.
(1) 업무 처리의 효율성을 위한 전략
(2) 업무에 대한 평가 전략 수립과 반영정도
(3) 보고 체계의 효율성
(4) 선교사간의 의사 소통이 원활한 정도
(5) 선교사 대비 행정사역자수(행정사역자 1인당 선교사)
(6) 행정 전산 능력 정도


3. 선교단체의 재정시스템

재정 사용은 한 단체의 건전성을 나타낼 수 있는 척도가 된다. 재정의 투명성은 후원자와 후원교회에게 신뢰를 주는 요소가 되는 만큼, 회계시스템과 재정 관리 담당자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영역이다. 재정 부분에 대한 평가항목은 아래와 같다.

(1) 재정 자원에 대한 전략과 융통성
본부 운영비 확보, 선교사들이 은퇴 후의 재정 계획, 비상시를 위한 적립, 선교사들의 보험, 특별한 사항을 위한 재정 적립에 대한 계획과 전략을 갖고 있으며, 그것이 명문화 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후원이사회 체제가 되어있는가

(2) 재정 관리 시스템의 합리성
재정 관리 시스템이 일반 회계원칙에도 맞아야 한다. 자체적으로 개발한 시스템이라해도 그것이 타당하고, 외부의 재정 전문가들의 인증을 받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3) 재정 담당자의 전문성
재정이 상당히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교단체의 경우는 전문성이 없는 자매들이 담당하고 있다. 재정 담당자는 최소한 그 분야에 대해 3년 이상의 경력이 있어야 하며, 회계를 전공한 사람이 담당해야 한다. 그리고, 재정 담당자를 위한 정기적인 실무 교육을 하고 있는지를 점검한다.

(4) 후원교회, 후원자 관리 정도
후원교회와 후원자 관리는 그들에게 매월 정기적으로 영수증을 보내고 있는지 본다. 관리를 위해 후원교회나 후원자들과의 정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있는지, 또한 관리 차원에서 후원자들에게 정기적인 소식지나 감사의 표현(책자를 보낸다거나 등)을 하고 있는지 본다.

(5) 재정 계획 수립의 여부(모금, 송금, 운영, 적립 계획 등)
수입과 지출이 늘 같은 상태로 유지되어 재정이 마이너스가 되면 단체는 운영이 어렵게 된다. 플러스 재정인가? 장기적인 재정 확립에 대한 계획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가? 선교사들을 위해, 적절한 적립금 시스템이 수립되어(예를 들어 자녀교육비, 여행적립금, 본국사역 비용, 보험 등) 그 시스템의 활용 여부를 본다. 선교사 후원금의 몇 %가 본부 재정과 적립금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또한 시행 체제가 성문화 되어 있는지 보며, 그러한 운영에 대한 이해가 단체 안에, 선교사들 안에 인지되어 있는지 본다.

(6) 재정 사용의 투명성
모금되는 후원금들이 정말 필요한 곳에, 또 시의 적절하게 선교사들에게 전달되고 있는지, 숨겨져 있는 재정은 없는지, 단체의 재정 흐름에 대한 일목 요원한 자료가 정리되어 있어서, 누가 감사를 해도 걸림이 없어야 한다. 정기적인 감사제도가 세워져 있는가? 누가 감사단에 해당되는지 살펴본다. 감사단은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인지, 또 감사단의 구성원이 내부인인지, 외부인인지? 그 비율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7) 재정 관리 프로그램 운영 여부 및 활용 정도
효과적인 재정 관리 프로그램을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을 때, 수기로 표기하는 것보다는 더 정확하다. 선교단체에 맞는 재정 프로그램을 갖고 재정관리를 하고 있는가?

(8) 복식 부기 사용 여부
복식 부기는 단신 부기보다는 재정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복식 시스템으로 재정을 정리하고 있는가? 담당자가 복식 부기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는가?

(9) 물적 자원 확충에 대한 전략
새로운 후원자 발굴에 대한 계획이 있고, 그것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본다. 매월 새롭게 후원하는 신규자들에 대한 파악과 관리하는 정도, 또한 후원이 중단된 후원교회나 후원자들에게 대한 후속 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10) 송금의 적시성과 융통성 정도
선교사들에게 송금하는 방법, 송금일, 은행간의 관계가 효과적으로 돌아가고 있어야 한다. 송금 후에는 정기적으로 후원내역서가 빠르게 보내지고 있는가?

(11) 인건비 비중의 적절성 정도
본부 사역자들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비용을 받고 있는지, 또는 너무 적은 금액인지 살펴보며 본부 사역자들의 인건비 확보를 위한 계획이 있는가? 본부 사역자들의 퇴직금 확보에 대해 조금씩 비축하고 있는지 본다.

(12) 선교사 복리 후생비 확보 및 활용 정도
선교사 각 개인의 후원비에서 몇%가 복리 후생비로 지출되고 있는가? 그 %는 적정한가? 후생비 사용에 대한 규칙이 세워져 있는지? 후생비를 지출함에 있어, 어떤 기준이 있는지, 어떻게 사용되는지 본다.

(13) 송금 계좌 단일 창구 확보
일반 은행의 가상 계좌 시스템이 되어 있는가? 통장이 너무 많아서, 필요 이상의 재정 업무가 쌓여 있는지 본다.

(14) 환율 변동 대처 능력


4. 선교사 케어와 관리

선교사들의 중도 탈락 가운데는 선교사케어나 관리가 부족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선교사케어는 점점 비중이 커지고 있는 선교 영역 중의 하나이다. 귀한 인재들이 체계적인 시스템 안에서 관리와 케어를 받는다면, 더 효과적으로 사역을 이루어 갈 것이다. 따라서 케어나 관리 부분이 잘 되어 있다면 양질의 선교사들을 육성해 갈 수 있으며, 또한 선교사들도 안정된 가운데, 장기적으로 사역에 임할 수 있게 된다. 이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평가해 본다.

(1) 선교사 케어 정책 유무
장기적인 정책이나 규칙들이 세워져 있으며,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가?

(2) 선교사 케어를 위한 재정 및 담당자 확보 정도
선교사 케어부분이 단체의 한 부서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부분을 전담하는 담당자가 있는가? 그 전담자는 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경력의 사람인가? 또한 선교사 케어와 관련된 안건에는 언제든지 재정을 지출할 수 있도록 케어관리 재정 비축이 되어 있는지? 전담자에게 정기적인 교육이나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선교사 케어에 대한 조사 및 통계 유무
선교사 케어 현황이나, 선교사 케어와 관련된 자료 수집과 파일링이 잘 되어 있는가?

(4) 선교사 케어 지침 유무
성문화된 케어지침이 있는지? 또한 담당자와 선교사들이 이러한 부분을 잘 숙지하고 있는지? 케어 부분에 대해 선교사들의 요구가 적절하게 반영되고 있는가? 지침대로 활용된 건들이 기록으로 잘 남아 있는가? 선교사 케어에 대한 노하우가 쌓이고 있는가?

(5) 케어 인프라 구축 유무(인적, 시설, 건물 및 기타)
그 단체의 선교사 케어 부분에 후원교회가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는가? 선교사 케어를 위한 위원회가 조직되어 있는가? 또 어느 정도의 주기로 위원회가 모이는지? 재정 이외에 케어에 필요한 안식관이나 시설들을 확보하고 있는지, 또한 확보를 위한 계호기들이 세워져 있는가?

(6) 선교사와 가정을 위한 보험, 연금 구비 정도
선교사가정을 위한 보험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보험 가입에 대한 강제성 여부, 그리고 선교사들의 호응도를 점검한다. 또한 선교사 퇴직금 형태로의 적립이 모든 선교사들에게 적용되고 있는가? 선교사 연금을 위한 별도의 재정 비축을 위해 파송 교회들과 의견들을 나누고 있는가?

(7) 케어 정책에 선교사의 호응 및 참여 정도
정책에 대한 이해가 선교사들에게나 지역교회에게 잘 숙지되어 있어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호응하고 있는가?

(8) 케어 정책의 현실성 및 실용성 정도
세워진 케어 정책이 몇 % 정도 적용되고 있는가? 현실과는 다른 이상적인 것만을 추구하고 있어서, 선교사들에게 신뢰는 주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활용성 여부를 점검한다.

(9) 선교사 자녀 케어
성인 선교사만이 아니라, 자녀들 케어에 대한 별도의 정책을 가지고 있는가? 자녀들과의 정기적인 연락을 하고 있는지? 선교사 자녀들의 교육비에 대한 정책과 지원을 위해 지역교회와 연계된 위원회가 존재하고 있는지? 선교사 자녀를 위한 장학금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지?
a. 선교사 자녀 현황 파악 정도
연령별로 정리된 현황파악도가 항시 준비되어 있는가? 매년 업그레이드 되고 있는가?
b. 선교사 자녀 교육에 대한 선교사 스스로의 만족도
자녀들의 교육 지침에 대한 가이드가 있어서, 선교사들이 그에 순응하고 있는지? 그러한 정책에 대해 선교사들이 만족하고 있는가? 선교사들 개개인의 선택에 의해서 자녀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해 본다.

(10) 선교사 현지 케어
현장과 본부는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본부의 선교사 케어는 미쳐 현장 선교사들에게 미치지 못할 때도 많이 있다. 원활한 현지 케어를 위한 정책이나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선교사는 현장에서 힘든 전투를 하게 된다. 선교사 현지 케어에 대한 단체의 의지를 점검하며,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평가 사항에 들어간다.
- 선교사 목회적 관리 정도
- 선교사 가정 관리 정도
- 현지 상황에 따른 차별화된 케어 정책 구비 정도
- 선교사 위기 시의 대처 방안 수준
- 현지 거주문제 해결 정도(비자, 주택, 자녀 교육 기관 등)

(11) 위기 관리에 대한 대책 확보 능력
선교 현장의 정치적 위기나 자연 재해 같은 위기 사항이 발생되어 있을 때, 현장 선교사들이 대처할 수 없다. 위기상황 대처에 대한 상세한 지침이 세워져 있는지? 또한 그러한 지침이 선교사들에게 정기적으로 숙지되고 있는지? 위기 상황 시에 네트웍할 수 있는 기관과의 연계를 갖고 있는지 평가해 본다. 또한 신임 선교사들 오리엔테이션에 위기 관리에 대한 교육도 선행되고 있는지 점검해 본다.

(12) 선교사 본국사역(안식년) 케어
안식년(본국사역)은 선교사들에게 재충전의 시기이다. 6개월에서 1년간의 짧은 기간이지만, 안식년을 효과적으로 보내도록 안식년 기간에 대한 가이드 라인이 세워져 있어야 한다. 본국 사역과 관련된 영역에는 다음과 같은 것을 점검한다.
- 안식년 선교사의 국내 정착 정책 수립 여부
- 안식관 확보 정도
- 선교사 계속 교육 정책 수립 여부
- 안식년 활동에 관한 선교사의 요구 반영 정도
- 입출국 절차 및 행정 절차에 따른 안내 정도


5. 선교 R & D (정보, 연구, 개발)

이 분야는 각 단체의 미래 발전적 성향을 알 수 있는 척도가 된다. 미래를 위한 투자가 계획되어 있다면, 전략적인 정보 수집에 대한 안목을 갖고 있어야 한다. 선교 사역의 전문성을 제고 시키는 것도 그 단체의 정보력이다. 미래적 R&D에 어느 정도의 예산을 갖고 있는지, 전문 인력이 있는지 점검한다. 이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평가한다.

(1) 정기적인 정보 수집 정도(인터넷, 영상매체, 문헌, 전문가 등)
단체가 전략적으로 집중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 수집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량은 어느 정도인가? 또 이 분야에 전담자가 있는가?

(2) 정보 수집 인력 확보 및 활용 정도
정보수집 전담자가 없다면, 외부인력(현장 통신원역할을 하는 선교사 활용정도)의 활용은 어느 정도인지, 또 현장 선교사들과 네트웍이 되어 있어, 정기적인 정보 보고가 이루어 지고 있는가?

(3) 정보의 유용성과 외부 기여도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가 외부 선교계에 유용한 정보로서 타단체나 지역교회가 적극적으로 활용하는가, 그 기여도를 본다.

(4) 정보의 타단체와의 차별화 정도(전문성)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전문성은 어느 정도인가? 현장에 도움이 되는 정보인가? 정보는 계속 갱신되고 있는가?

(5) 정보 처리 능력(요약, 편집, 정리, 배열)
정보 수집력과 병행해서 수집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가공의 능력은 어느 정도인가?

(6) 정보의 문서화, 데이터 베이스화 정도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문서화나 데이터 베이스화 정도는?

(7) 정보제공 채널의 다양성(홈페이지, 전자 우편 등)
보유한 정보들을 후원교회나 후원자, 또는 잠재적인 후원자들에게 여러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그 빈도수는 어느 정도인가? 정보를 받는 사람들로부터의 feed back을 받고 있는가?

(8) 데이터 백업 수행 정도

(9) 정보 제공자(선교사, 헌신자, 학교, 연구단체 등)의 네트워크 정도
단체가 보유한 정보의 질과 양을 높이기 위해, 정보 수집 채널에 대한 네트워크는 어느 정도로 구비되어 있는가? 정보원(Reference source)이 되는 사람, 또는 단체와의 정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가? 정보제공자들에게 적절한 감사의 표시를 하고 있는가?

(10) 전략 수집 시 활용정도
수집, 가공된 정보가 단체의 미래 지향적 전략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정보가 사장되고 있지 않은가 점검.

(11) 세미나, 대회 개최 실적
* 동원 영역으로

(12) 출판물(영상물포함) 발행 실적
* 동원 영역으로

(13) 연구 지원 및 투자 정도
R&D 자금이 적립되어 있는가? 이 기금을 마련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 놓고 있는가? 마련된 자금은 연구에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는가?

(14) 연구의 기여도
단체의 연구 실적이 내부 선교사들이나 후원 교회, 외부적으로는 타단체나 다른 선교사들에게 어느 정도 도움이 되고 있는가? 연구 실적이 있는가?

(15) 선교지역/사역 전문성 확보 및 개발 정도
차별화된 정보 확보에 대한 투자, 그리고 개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지? 또한 세웠다면 그 실천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16) 연구, 개발 전담 자원 확보 및 운용
R&D를 위한 인적, 재정 확보와 개발에 대한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가? 수립된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전담자에 대한 교육이 계획되어 있는가?

(17) 정보 관리 및 가공 능력
R&D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관리하고 가공하는 인원과 그 인원은 전문성을 갖고 있는가? 전문성을 키워가기 위한 투자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18) 사역의 집중화 전략 (19) 지역 선정에 대한 전략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정보를 가공하고 그 분석에 의해 사역과 지역을 선정하는가? 그 활용도는 어느 정도인가? 그러한 정보에 의해 사역의 전문성을 자체적으로 평가하고 있는지? 또한 정보에 근거해서 개척 지역을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있는지와 그 활용 여부는?

(20) 업무 수행 시 활용 정도
* 인사/행정 사무 부분으로

(21) 홈페이지 관리 및 활용
* 인사 행정 사무 부분으로

(22) 해당 사역자의 컴퓨터 활용 능력
* 인사 행정 사무 부분으로 아니면 17번으로

(23)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구축 및 활용
* 인사 행정 사무 부분으로


6. 선교동원/ 훈련

6-1 동원
동원분야는 단체에 인적 자원을 확보하는 통로가 된다. ‘동원’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있다면 잠재력 있는 인적 자원을 많이 보유하게 된다. 효과적인 동원을 위한 계획, 홍보 활동, 선교대회나 세미나, 기도회 등을 정기적으로 하고 있는가를 본다. 이 영역을 전담하는 사역자가 있는가? 여기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점검한다.

(1) 인력 및 재정 확보 정도 / (6) 동원을 위한 인력 및 재정 확보 정도
전문 선교동원가가 있는가? 또한 ‘동원가’를 육성할 계획과 재정이 확보되어 있는가? 동원을 통해 미래의 자원들을 확보하는데, 재정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가? 또 그러한 재원이 예산에 잡혀 있는지 점검한다.

(2) 동원대상자에 따른 정책 수립 정도 / (4) 선교 관심자 동원 정책 수립 정도 *합쳐도?
동원 대상자는 다양한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잠재지원자, 기도후원자, 단순관심자, 적극 관심자 등, 이러한 단계에 맞춘 정책을 갖고 있는가?

(3) 지역 교회 동향 파악 및 동원 정책 수립 정도
지역교회에 대해 어느 정도 관계를 맺고 있는가? 지역교회를 선교에 동참시키기 위한 계획이나 정책이 있는가? 지역교회를 위해 세미나, 선교학교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지?

(5) 동원홍보자료 구비 정도(홈페이지, 책자, 비디오 등)
동원자료로 활용되는 것들이 리스트되어 있는가? 그러한 동원자료들이 정기적으로 갱신되고 있는가? 얼마나 다양한 동원자료를 갖고 있는가? 홍보자료가 자주 활용되고 있는가?

(7) 초기 관심자의 헌신 유지 정도
동원의 결과는 초기 관심자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헌신하게 하는가에 있다. 초기 관심자를 위한 단계별 양육 계획이 세워져 있는지? 이 단체를 통해 초기 관심자가 장기까지 헌신하게 된 사례가 많아, 노하우가 세워져 있는지? 초기 관심자를 위한 지속적인 follow up이 되고 있는가?

6-2 훈련
단체가 자체적으로 훈련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것은, 단체정책에 동의하는 양질의 선교사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통로가 된다. 자체적인 훈련 전담자가 있다면, 그 단체에 적합한 후보자들을 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그러한 것이 없다면, 외부 단체와 네트워크해서 어떻게 선교사를 훈련시키는지 본다. 외부 훈련단체와의 연계성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살펴본다. 이 훈련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평가 항목에 들어간다.

(1) 훈련 프로그램 및 목표, 커리큘럼, 훈련자, 조직 강사, 시설, 재정 확보 정도
(2) 국내외 훈련의 프로그램 여부 및 내용
(3) 관심자 대상 훈련 프로그램 및 활성화 정도
(4) 본부 스텝 대상 훈련 프로그램 및 활성화 정도
(5) 선교사 대상 훈련 프로그램 및 활성화 정도
(6) 타단체와의 프로그램 내용의 차별화 정도
(7) 타 기관과 위탁 또는 연합훈련 프로그램 유무


7. 선교협력, 네트워크

남은 과업인 미전도종족 선교의 완성을 위해 ‘협력’해서 그 일을 이루고자 하는 분위기는 21세기 선교 흐름에서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선교 현장의 급변한 변화는 예상하지 못한 위기 상황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위기 상황은 한 단체가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일 경우가 많다. 선교 단체와의 연합을 통해 능률적으로 사역을 이루어 가고 있는지, 점검하여 다음과 같은 항목을 점검한다.

(1) 정치적 문제, 법률 변화에 따른 대처 능력
이 단체가 사역하는 지역에 대한 최신 정보를 갖고 있으며, 그 지역에 대한 정치적 현안이나 변화에 대해 선교사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주고 있는가?
(2) 현지 관련 법규 이해 정도
사역하는 지역의 법규, 특별히 외국인과 관련된 법ㅂ규를 자료로 갖고 있는지?
(3) 타교단/선교단체 동향 파악 및 협의 능력
타 단체와의 협력을 하고 있는 상황, 연대하고 있는 단체와의 협약서가 있는지, 정책적으로 연합을 하고 있는 운영 규정이 있는가?
(4) 해외단체 동향 파악 및 협의 능력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타 단체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또한 그러한 사례들이 있는지? 협력하는 단체들의 성향은 어떤가?
(5) 현지 교회의 동향 파악 및 협의 능력
선교지에 있는 교회나 현지 교단과의 관계는 어느 정도인가?
(6) 국내외 선교 관련 대회 참여도
연합 선교 대회에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있는가?
(7) 위탁 교육 실적
자체적으로도 훈련시설이 있지만, 전문 단체의 특수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위탁시켜서, 소속 선교사들이나 스텝들의 질적 향상을 계획하고 있는가?
(8) 본부 스텝 현장 방문 기회 제공 *다른 영역으로 옮기면?
본부 사역자들은 현장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현장은 이론으로만 진행되는 곳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장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 선교사들을 섬기는데, 큰 도움이 된다. 본부 사역자들의 선교지 방문이 년간 계획에 세워져 있는지? 어떤 방법을 통해서 선교 현장 방문을 하고 있는지?
(9) 단체의 현장 기여도에 대한 평가
(10) 네트워크를 통한 시너지 개발 여부 점검
타 단체나 타 단체 소속 사역자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현장에서의 연합 사역을 개발하거나 그러한 계획들이 정책적으로 수립되어 있는가?
(11) 선교의 전문성을 상호 인정하는지 여부
외부 단체에 대한 개방성 정도?
(12) seconding에 대한 확실한 이해 및 정책
선교사들의 이중 멤버쉽에 대한 이해를 어느 정도하고 있는가? 이중 멤버쉽을 가진 선교사들에 대한 정책이 세워져 있으며,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세컨딩을 하는 단체에 대한 정보가 자료화되어 있는가?
(13) 상이한 또는 유사한 단체들과의 협력 정도
같은 지역이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단체들과의 협력과 협약을 이루고 있는가?
(14) 협의 사항 수행 정도



Ⅳ. 선교재정의 성경적 원리와 실제

A. 선교재정 모금에 대한 성경적 원리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주 안에서 함께 사역할 때 세워져 간다. Paul사도는, 「몸은 하나인데 많은 지체가 있고 몸의 지체가 많으나 한 몸임과 같이 그리스도도 그러하니라 … 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고전12:12-27)했고 또 「그에게서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입음으로 연락하고 상합(相合)하여 각 지체의 분량대로 역사하여 그 몸을 자라게 하며 사랑 안에서 스스로 세우느니라」(엡4:16)하였다.
우리 한국교회가 세계선교를 함께 순종할 때에 어떻게 선교재정의 원칙을 세울 것인가? 성경은 물질에 있어 세계의 모든 성도들이 서로가 도와야 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사도 Paul이 갈라디아 교회의 성도들에게 당부했던 말씀(갈6:10)이 10년이 걸려서야 그가 선교한 헬라 -로마의 여러 도시들의 교회가 예루살렘교회를 위하여 모금하여 도움을 주게 되였다.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들이 서로 물질 봉사에 대한 중요 원리는 많이 볼 수 있다(행21:17~19, 24:17, 고후8:9).
사도 요한의 말씀을 들어보자. “누가 이 세상 재물을 가지고 형제의 궁핍함을 보고도 도와 줄 마음을 막으면 하나님의 사랑이 어찌 그 속에 거할까보냐 자녀들아 우리가 말과 혀로만 사랑하지 말고 오직 행함과 진실함으로 하자”(일요3:17~18).


I) 선교재정 모금의 십계명 (Rickett,2002,30)
1. 돈을 신뢰하지 말고 하나님께 의지하라. (시34:9~10, 107:9, 111:5, 127:2, 마6:24, 히13:5)
2.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이 더 복되다. (행20:34~35)
3. 성도는 자신과 가족 부양을 위하여 일해야 하고 갖고 있는 것을 나누어 써야 한다.
(엡4:28, 살전4:11~12, 딤전5:8)
4. 성도는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주신재원을 잘 관리하여야 한다. (시24:1~2, 마25:14~30, 눅 12:48, 14:28~30, 16:10~12, 행17:24~28, 롬14:12, 고전4:2, 고후5:9~10, 벧전4:10)
5. 선교사와 교회사역자는 후원받을 권리가 있다. (고전9:3~14, 딤전5:18)
6. 선교사와 교회사역자는 재정후원에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하고 거기에 의존만 해서는 안 된 다. (행18:3, 20:33~35, 고전9:15~18, 고후11:7~10, 살전2:7~9, 살후3:6~9)
7. 하나님 앞에서나 타인들 앞에서 재정관리의 순전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신25:13~15, 고후8:16~24)
8. 성도는 하나님의 공급하여 주심에 대하여 만족해야하고 감사해야 한다. (빌4:10~19)
9. 어떤 성도는 상대적으로 더 가난할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해서 빈둥거릴 권리도 없고 전적으 로 사회복지제도에 의존해서도 안 된다. (살전5:14, 살후3:6~15, 디도3:14)
10. 부정한 동기나 방법으로 돈을 받는 것은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킨다. (딤전6:9~10)

II) 선교 재정 후원의 십계명 (Rickett,2002,31)
1. 하나님께서 후하게 주는 자를 귀히 여기시고 인색한 자에게는 손을 거두신다.
(신15:10~11, 잠19:17, 22:9, 사58:7, 10~11)
2. 성도가 줄때에 이를 보려는 동기를 삼가야 한다. (눅14:12~14)
3. 성도는 자기가 갖고 있지 않는 것이 아니라 가지고 있는 것을 따라 주어야 한다. (고후8:12)
4. 성도의 여분의 것을 다른 분의 부족한 점을 메우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고후8:13~15)
5. 넉넉하게 심는 자는 넉넉하게 거둔다. (고후9:6~11)
6. 성도는 모든 사람들에게 특히 동료신자들에게 선을 베풀어야 한다. (갈6:10)
7. 성도는 다른 사람들을 위한 그리스도의 희생적 겸손과 사랑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빌2:1~5)
8. 가족이나 친척의 필요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누를 끼칠 수 있다.
(딤전5:4, 8, 11~13, 16)
9. 성도가 줄 때에 가식을 삼가야 한다. (약2:1~10)
10. 사랑은 형제가 도움이 필요한때 자기에게 있는 것을 결코 부인하지 않는 것이다.(일요 3:16~20)

III) 서로 섬길 때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다.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를 서로 나누는 자가 되여(빌1:7), 하나님 왕국에서 성도의 유산을 받을 자격이 주어지고(골1:12), 하늘의 부르심을 받게 되고(히3:1), 거룩함을 입게 되고(히12:10), 나타날 영광에 참여(벧전5:1)하게 되므로 하나님의 동역자가 되는 축복을 받게 되는 성경의 교훈을 재확인하자.
1. 우리는 그리스도의 화목케 하시는 사역에 우리의 생명과 재원을 투자하도록 불림을 받았다. (고후5:18)
2. 하나님께서 그의 몸된 교회에 다양한 은사를 주셔서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한 지상명령을 수 행하는 사역을 잘 할 수 있도록 서로를 돌아보게 하였다.(엡4:11~13)
3. 우리가 주님의 지상명령을 완수하려는 과정에서 부, 교육, 경험 같은 인간의 기준에 의존하지 않고 오직 성령께 의존해야 함을 인식한다.(슥4:6)
4. 우리 성도가 그리스도의 사역을 할 때 서로 돕는 것은 영예로운 책임이다. (고후8:1~15)
5. 우리 성도가 하나님을 공경하는 사역을 할 때 주 안에서 서로 존경, 신뢰, 순복하는 정신으로 해야 한다. (골3:23~24, 갈5:13)
6. 상호책임을 진다는 것은 기독교 청지기직의 아름다운 요소이다. (고전4:2, 롬14:12)
7. 우리 성도가 서로 돕는 동기는 그리스도 본을 따라 섬김의 태도여야만 한다. (빌2:1~11)

우리 성도는 몸된 세계교회의 일원으로 복음사역을 위해 서로 섬기도록 불림을 받았다. 「마음을 같이하여 같은 사랑을 가지고 뜻을 합하여 한 마음을 품어…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 각각 자기 일을 돌아볼뿐더러 또한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아보아 나의 기쁨을 충만케 하라」(빌2:2~4)는 말씀을 기억하자.
우리가 서로 나눌 때에 진실로 주안에서 형제, 자매가 될 것이다. 그리고 주의 지상명령이 보다 속히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서 적

Moreau, A. Scott. ed. EMQ vol.38, NO.1 Jan, 2002 Principles of Giving and Receiving in missions Partnerships (by Daniel Rickett)

Blomberg, Craig L. Nither Poverty Nor Riched: A Biblical Theology of material possessims. Grand Rapids: Eermans, 1999.

Nevius, John. Planting and Development of missionary Churches. Phillipsburg PA: Presbyterian Reformed publishing House, 1958.


B. 선교재정의 이론과 실재 (참고. 강승삼.21세기선교길라잡이. 149-173)
서언
선교와 돈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 복음은 능력이다. 그러나 돈은 능력이 아니다. 복음선교의 한 수단이다. 인간에게 의․식․주․일을 위해 필요한 것처럼 말이다. 선교재정은 청지기적 이론이다.

1. 선교재정에 대한 성경적 모델(Faith Mission Models)
①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믿고 선교하는 모델(빌 4:12-14)
바울선교사의 믿음의 선교. 바울은 모든 경우에 그의 필요를 하나님께서 공급하심을 배웠다.
② 자비량 선교의 모델(행 18:3)
바울은 에베소 교회와 데살로니가 교회에 편지하기를 자신의 노력(Tentmaking)으로 자비량 선교를 한다고 했다.
③ 교회가 후원하는 모델(고후 8-9장)
바울은 고린도 교회를 향하여서는 선교후원을 넘치게 하라고 직언하고 있다.

2. 선교후원재정의 형태
① 교단적인 선교재정 모금의 형태(Denominational Missionary Funding Type)
Eg. 미남침례교, 미개혁장로교
② 개교회 선교재정 예산 운영의 형태(Each Church Missionary Funding Type)
Eg. 개교회별 선교사 파송의 경우, 순복음 여의도교회
③ 교단 및 개교회 협력 선교재정 운영의 형태(Denomination and Local Church Combined Missionary Funding Type)
Eg. 예장합동, 예장통합 etc.
④ 초교파선교단체의 믿음의 선교재정 형태(International Faith Mission Funding Type)
⑤ 자비량 선교재정 형태(Tentmaking Funding Type)
⑥ 교회후원과 자비량을 겸한 선교후원 형태(Church Support and Tentmaking Combined Funding Type)
⑦ 기타


3. 선교재정 분배 관리 시스템의 원리
후원자(교회)의 의도에 따라 일반후원금(General Gift), 선교사 지정후원금(Designated Missionary Support), 특별프로젝트나 지정된 사역후원금(Designated Special Project Fund), 개인선물(Personal Transmission Gift), 장비구입이나 일반 선교사역 후원금(Work Account Gift) 등의 명목이 있다.
1) 공동분배원칙(Pooling System)
Eg. 대부분의 국제선교단체들
2) 개별 선교재정 정책
Eg. 개교회별 선교사 파송의 경우, WEC
3) 복합 선교재정 정책
Eg. 한국교단선교부들의 경우
4) 기타


4. 선교재정의 책임성(Accountabilities)
1) 후원자(교회)
2) 선교회(부)
3) 선교지부
4) 선교사

5. 선교재정관리를 위한 Computer Software 활용
- 가장 명확하고, 단순하고, 실재적인 방법이다.
- 운영자의 정직성(Integrity), 전문성, 관계성, 효율성은 중요하다.

6. 선교후원재정 기중안의 예
1) 한국세계선교협의회의 해외선교비 통일 기준안(1999년 9월)
* US $ 기준/ 합계는 교육비에서 중고생을 기준으로 하고, 근속수당은 5년 근속한 선교사를 기준으로 하여 나온 것임


2) GMS 선교사 재정 기준
제1절 선교비
1-1. 선교비 내용 / GMS 선교사에게 후원되는 선교비는 기본선교비와 특별사역비(프로젝트비)로 구분한다.
1-2. 기본선교비 / 선교사가 선교지에서 정상적인 생활과 기초사역을 할 수 있도록 정한 선교비를 말한다. 기본선교비는 독신과 가정, 자녀수, 현지의 물가수준, 현지교회지도자 의생활수준, 타선교단체 선교사의 선교비 등을 고려하여 한국 장로교 교단 선교부 실무자들의 연구와 한국 선교지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채택한 기초안을 실정에 맞게 용어와 구분 등을 수정하여 정한 것으로 기준표는 다음과 같다.


1-2-1 기준표(1지역, 월, U.S.$, 수습선교사 기준)
1-2-2 위 기준표에 대한 부가 설명 및 나타나지 않은 기본사항은 다음과 같다.
1-2-2-1 정착금의 기본은 독신 1,000$, 기혼 2,000$로 책정함. 차량구입비는 별도로 함
1-2-2-2 교육비는 유,초등학생 기준임 (1인당) 중,고생 150$, 대학생 200$로 증액됨
1-2-2-3 지역구분 기준은 그나라 GNP를 기준으로 함
1지역- GNP US$ 1,000 미만
2지역- GNP US$ 1,100~3,000 미만
3지역- GNP US$ 3,100~5,000 미만
4지역- GNP US$ 5,100~10,000 미만
5지역- GNP US$ 10,000이상
1-2-2-4 생활비: 공과금, 주부식비, 문화생활비, 기초의료비. 주택유지관리비, 차량운영비
1-2-2-5 주택비: 아파트, 단독주택(구분하지 않음), 지역구분에 의해 주택비만 $70씩 가 산됨
1-2-2-6 사역비 : 교통비, 판공비, 기초사역비(단, 언어훈련기간은 기초사역비가 언어훈련비가 됨)
1-2-2-7 교육비 : 유치(만4세), 초등, 중고, 대학생(만24세, 병역 3년 제외)까지
1-2-2-8 근속비 : 제2기 사역부터 년 $ 50가산, 총 $200을 초과하지 않음
1-2-2-9 상여금 : 기본 생활비의 200%
1-2-2-10 선교사회비 : GMS본부운영을 위해 모든 선교사가 납부할 의무가 있는 선교사 회비이다.

1-3 특별사역비(프로젝트비) / 선교사 개인이나 팀이 계획한 특별 사역을 위한 선교비를 말하며 특별사역(프로젝트)는 지부를 통하여 파송교회와 후원교회의 동의를 거쳐 해당지역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모금할 수 있으며 허락된 특별사역을 위해 모금된 특별사역비는 성과보고서를 따라 본부장의 승인을 받고 해당선교사에게 송금된다.
1-4 관리세칙 / 기본선교비에 관한 상세한 내용과 기본선교비 관리 및 송금 등에 관한 것 은 선교사 관리 세칙에 의거한다.

제2절 기금
2-1 목적 / GMS선교기금이라 함은 선교사의 기본선교비 중에서 GMS선교사의 복지를 위 해 본부가 관리하는 재화를 의미하며 상호의료기금, 퇴직적립금, 안식년여행경비와 안식년여 행경비의 이자와 특별헌금으로 마련되는 공동기금이 있다.
2-2 내용 / GMS선교기금을 통해 주어지는 선교사 복지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다.
2-2-1 상호의료기금 / 선교사의 상해와 질병치료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기금이다.
2-2-2 퇴직적립금 / 선교사 퇴직시에만 받을 수 있는 적립금으로 은퇴선교사는 이 적 립금을 통해 은퇴 후 복지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기금이다.
2-2-3 안식년여행경비 / 안식년으로 귀국하거나 긴급하게 선교지에서 철수할 경우 가 족 모두의 여행을 위해 적립하는 기금이다.
2-2-4 공동기금 / 적립된 안식년여행경비의 이자를 개별적으로 지급하지 아니하고 모 은 것과 특별히 이 목적으로 헌금된 것으로 마련한 이 기금은 선교사들이 개인적으로 목돈을 필요로 할 때 정한 방법으로 무이자 대출하여 대책을 마련토록 하는 기금이다.
2-3 관리방법 / 기금을 관리하는 방법이나 기금을 사용하는 절차에 대한 자세한 것은 선교 사 관리세칙에서 정한다.

제3절 모금
3-1 원칙 / GMS 선교사는 선교사로 임명받기 위하여 GMS가 정한 기본선교비를 모금하여 야 한다. 선교비 모금은 선교사의 소명을 교회를 통해 확인하는 방편이며 또한 선교사는 교 회의 보내심을 받아 사명을 수행하는 것임을 공인하는 절차이다.
3-2 방법 / 선교비 모금은 성령의 감동을 따라 기쁘게 자원하는 교회와 개인의 헌금으로 하며 선교비 모금을 위해 비성경적이거나 강제적인 방법을 따르지 아니한다. 특히 모 금하는 것과 선교지에서의 사역의 우선 순위가 혼돈되지 않아야 한다.
3-3 보고 / 모금된 선교비는 본부에 보고하여 본부에서 후원자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4 관리 / GMS 선교사가 사역 중 모금했던 기본선교비가 후원되지 않는 상황이 6개월 이 상 계속될 경우 선교사로서의 소명과 사역지의 적절성 여부 등을 점검하며 부족된 기 본선교비를 모금할 수 있도록 본부에서 소환할 수 있다. 특히 파송교회가 협약을 파기 하고 후원을 중단할 경우에는 필히 소환된다.

제4절 감사
4-1 대상 / GMS 기본선교비 중에서 기초사역비를 사용한 내역과 특별사역비로 후원된 선 교비에대해서는 사역보고와 함께 재정감사를 통해 모든 선교사역이 목표에 부합되는 전략적 사역이 되도록 지도한다.
4-2 방법 / GMS 선교사 개인은 지부의 지도력을 거쳐서 본부에 분기별 재정보고를 하며 본부장이나 해당지역위원회 혹은 임원회에서 지도방문시 직접 감사할 수 있다. 이 때는 공식 문서로 통보하며 해당 선교사나 지부는 합당하게 준비하여 교회들이 후원하는 일 에 보람을 갖게 해야 한다.
4-3 결과처리 / 감사한 내용과 평가서는 해당지역위원회와 임원회에 공식적으로 보고하며 자료를 남겨 역사철에 보관케한다. 특히 감사를 통해 지적한 것은 시정 결과를 자료와 함께 보고하여야 하며 교훈이 될만한 사항은 공지한다.

7. 선교사의 재정과 관련한 Deputation 사역은 어떻게 하나?

8. 한국선교사 후원 재정관리의 개선의 필요들은 무엇인가?
1) 세계선교 운동의 성장기에 들어선 한국교회 선교의 문제점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한 공동의 노력 필요.
2) 현존 선교단체의 실태와 정확한 파악 및 협력의 노력 필요
3) 현대 선교운동의 결과에 대한 솔직하고 겸손한 분석, 평가 활동 필요
4) 현존 선교단체의 “허”와 “실”에 대한 솔직한 자인을 통하여 보완과 강화를 위한 공동 노력의 필요
5) 선교사 파송(배치) 전략 연구의 필요
6) 미전도종족(국내 외국인 포함) 선교(입양) 전략 시행의 필요
9. 한국선교사 후원 재정관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1) 선교재정의 중복투자는 어떤 것인가?
2) 프로젝트식 선교재정의 문제
3) 선교사 자녀교육의 문제
4) 선교사후생대책의 문제
5) 현지사역자 고용의 문제와 토착화의 문제
6) 선교본부행정요원의 후원의 문제


V. 선교행정과 섬김의 관계성
1. 인간관계의 원리 (Principles of Human Relationships)
선교 지도자는 성경적인 인간 관계론을 행정 경영에 적용해야 한다. 세상의 체제
는 인간 관계에 자신을 항상 내세우거나, 타인들이 자기의 필요를 채워주기를 위한
인간관계를 주장한다. 그러나, 성경적인 인간 관계론은 내가 타인들의 필요를 채워
주는 원리다.
1) 모든 인간 관계성은 인간의 필요성으로 귀납된다.
모든 사람들은 타인들과 인간관계를 형성함으로서만이 필요를 채울 수 있다.
Eg. Adam, Gen 2:18, "It is not good for the man to be alone."
2) 상대방의 필요 충족이 일을 원만히 진척시키고 유지하는 인간관계의 관건이다.
크리스천 지도자가 이 원리를 적용하지 않을 때 인간관계의 문제의 제약을 받
게 된다.

2. 조직체/선교단체의 형성된 여러 가지 관계성
* 인간관계의 4대 기본 Styles 즉 협력형(Cooperation), 보복형(Retaliation), 지배형(Domination), 고립형(Isolation)등이 있다.
1) 협력형 관계성의 발전단계
① Mutual commitment to meet the other person's need. (상대방의 필요를 충족시키려는 상호간의 약정. 빌 2:3-4)
이기적인 동기, 행동을 피하고 타인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관심을 모아야 한다.
② More emphasis on others than on self.(관계성의 목표를 상대방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봉사를 한다.)

③ Mutual trust and respect. (사람은 자기의 필요를 충족 시켜주는 사람을 신임하고 존경한다.)
④ Mutual use of gifts, skills, and creativity. (협력형 관계성은 상대방의 일에 관련된 필요에 강조점을 둘 뿐 아니라 상대방이 직접 참여하여 재질, 기술과 창의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⑤ Joint development of solution to problems.
⑥ Productivity in the relationship.
⑦ Personal commitment to the relationship.
The cooperation style is the only one that focuses on others. The other three


3. 협력형 관계성으로서의 회복의 단계
. Matt 5:23-44. 예배 드리기 전 화해하라.
. 협력형 관계성이 빚나가게 되면 즉시로 다음의 단계를 취해야 한다.
1) Admit your current relationship style. James 5:16
나의 잘못을 인정하는 것이 관계 회복의 시작이다.
2) Admit your selfishness is sin and ask God and the others involved to forgive you. Col. 3:13, Mat 6:14-15. 서로 용서하라.
3) Make a decision to develop a cooperation style relationship.
빌 2:3-4 하나님 말씀에 위배되었으므로 서로 협력할 것을 결심하라.
4) Begin acting out of love. 1 Cor. 13:4-7. 사랑으로 하라 - Patient, kind, never jealous or envious never boastful or proud, never haughty or selfish or rude.
5) Start thanking God for those in the relationship. 살전 5:18, 약 1:2-4
4. 올바른 관계성의 수칙 (Rules for Right Relationships)
1) Attack the Problem, not the person. (사람을 공격하게 되면 협력관계는 깨어지고 보복형으로 바뀌어질 수 있다.
2) Verbalize feelings, don's act them out. (느낌을 행동으로 옮기면, 오해적개심, 마을을 상하게 할 수 있다.
3) Forgive in place of judging.
4) Be committed to give more than you take. (받는 것보다 더 많이 주라 - 희생하라. 롬 12:9-21 참조)
5. Personal Application - 숙제
1) 인간관계의 4대 기본 형태(Styles)를 Review하고 이를 사용하여 귀하의 현재인간관계 형태를 점검, 평가하라.
2) 빌 2:3-4을 묵상하고 자신의 가정, 직장, 교회, 이웃의 필요를 좀 더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방도를 써 보시라.
3) 자신의 관계성의 문제점들을 찾아보고 관계성의 정상회복의 5단계를 적용하여 보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