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선교 EH국/태국 자료 (65)
내 영혼 축복의 땅. 광야에서
뭐 100만 원이 증발했죠. 100 좀 넘게 증발했죠. 이렇게 비자가 중요합니다. 네 안녕하세요.사실 저번 시간에 입국 거부와 관련한 내용 이후 비자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습니다만 해당 이야기는 혹시나 사실과 다를 수 있는 내용과 오해를 낳을 수 있어 내용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특히 비자와 관련한 내용은 사실과 다를 경우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으니까 최대한 제가 겪은 팩트 위주로 전달해 드립니다.다만 이 사실들이 태국 내에서도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푸켓 외 다른 지역에서 준비하시고 계시다면 참고 정도로만 봐주시면 좋겠습니다.저처럼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직접 비자를 취득하시고 싶은 분들을 위해 오늘부터 틈틈이 공부하며 비자에 관한 내용들을 전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
태국과 한국 사람은 물과 기름 같다고 했는데 이유를 들어보고 싶어요.태국과 한국 사람은 물과 기름 같다라고 한 이유는 이거는 제가 예시를 들어드려야 될 것 같은데, 사실 예시를 들자면 끝이 없거든요.저는 근본적으로 태국인과 한국인은 이 세상을 바라보는 세계관이 다르다고 생각을 해요. 예를 들어 우리 한국인들은 대체적으로 내가 어떠한 위치에 있던지 간에 내가 나 스스로를 계속 발전시키려고 하고 좀 더 나은 삶을 살려고 하는 그러한 사고방식이 이미 마음속에 깔려있는데,태국 사람들은 제 경험상 지금 현재 내가 내가 갖고 있는 것에 만족하고 그거에 감사하며 사는 어떻게 보면은 뭔가 우리나라의 정서에는 그리 맞지 않는 세계관을 대부분의 태국 사람들이 갖고 있지 않나 저는 그렇게 생각을 하는데 물론 이것도 살면서..
여기서는 방콕이라는 도시 자체 여기에 지역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나를 다룹니다.여기는 정말 복잡한 도시라서 중세 근대 현대가 섞이고 빈과 부가 얽혀 가지고 돌아댕기다 보면은 와 이게 같은 도시야 라는 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는 그런 곳이거든요. 우선 방콕은 태국의 수도입니다. 이 태국이나 나라가 그렇게 경제적으로 작은 나라도 아니거든요. GDP가 거의 5000억 달러로 한국의 1.8조 달러에 비해서는 작아 보이지만 포르투갈이나 그리스보다 전체 덩치가 두 배나 됩니다.물론 인구는 압도적으로 태국이 많아서 국민 개개인 소득은 그쪽이 훨씬 높지만,어쨌든 나라 덩치가 그렇다는 거예요.또 방콕은 1700년대부터 시한 왕국의 수도가 되어 아직까지 태국의 수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그리고 태국이나 나라는 방콕 이외에 제..
올 여름 단기 선교를 위해 준비한 것들인데요,필요한 분이 많았으면 좋겠네요
예전에태국에 비낼 때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글없는 책 복음팔찌사영리등을 태국어와태국어 한글 표기와한글로 정리하여 봤습니다 성조표기 작업을하여추가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엑셀문서입니다유용하게 쓰였으면 좋겠네요....

9역링크토론편집역사ACL 라마 9세 최근 수정 시각: 2022-12-18 17:10:44 태국의 군주 1927년 출생 2016년 사망 케임브리지(매사추세츠) 출신 인물 불교도 군주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무궁화대훈장 수훈자 태국의 불교 신자 아시안 게임 개회 선언자 화폐의 인물 태국 국왕 [ 펼치기 · 접기 ] 푸미폰 아둔야뎃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태국 짜끄리 왕조 제9대 국왕 푸미폰 아둔야뎃 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 | Bhumibol Adulyadej 왕호 라마 9세 (Rama IX) 이름 프라워라웡트 프라옹짜오 푸미폰 아둔야뎃 (พระวรวงศ์เธอ พระองค์เจ้า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 출생 1927년 12월 5일 미국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1] 사망 2016년 10월 13..
태국어 글없는 책 번역본 ( 엑쎌 문서로 만들었습니다 )

현대화1851 Jan 1 - 1910Thailand출라롱콘 왕 © Anonymous몽쿳 왕이 샴 왕위에 올랐을 때 그는 주변 국가들로부터 심한 위협을 받았습니다. 영국 과 프랑스 의 식민 세력은 원래 시암의 영향권에 속했던 영토로 이미 진출했습니다. 몽쿳과 그의 후계자 출라롱콘(라마 5세)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현대화를 통해 시암의 방어력을 강화하고 서구의 과학 기술 성과를 흡수하여 식민지화를 피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이 시대에 통치한 두 군주는 서양식 조직을 갖춘 최초의 군주였습니다. 몽쿳 왕은 26년 동안 방랑 승려로 살았고 나중에는 왓 보원니웻 비하라(Wat Bowonniwet Vihara)의 주지스님으로 살았습니다. 그는 시암의 전통 문화와 불교 과학에 능숙했을 뿐만 아니라 유럽 선교사들의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