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영혼 축복의 땅. 광야에서
펌) 일제 강점기 마산 신사 본문
제일여고 터에 일본 신사가 있었다
일제가 우리 민족을 무력으로 위압한 것이 군대와 경찰이었다면 정신적으로 위압한 것은 신사(神社)였다.
마산 제일여고 터가 신사였다.
<마산 시사 / 현 제일여고 터>
지금은 제일여고 뒤에 큰 도로가 나있지만 신사의 뒤쪽은 산이었다. 바다에서 보면 산을 향해 일직선으로 급하게 상승하는 길의 끝이다.
길 양옆에는 벚꽃나무가 즐비했고 길바닥은 조약돌이 깔려 있었으며 신사의 신주문에 이르기까지 층층이 돌계단을 밟고 올라가야 했다.
조선인이 거주했던 구마산 지역 산제당 가는 길의 꾸불꾸불하고 아기자기한 산길과는 몹시 대조적인 길이었다.
신주문 앞의 왼켠 마당에는 큰 대포 하나가 있었는데, 그 대포도 신사와 함께 동향으로 서서 마산 시가지를 내려다 보았다.
마산시의 지붕에 일본의 식민정책을 상징하는 두 쌍벽이 나란히 있었던 셈이다.
대포는 고 김형윤씨의 글에 의하면 일본 조병창에서 건조된 것으로, 일본의 군사력을
과시하기위해 마산만 중포병대대 입구의 산정에 두었다가 대대장이 1935년 마산부에 기증했고, 마산부는 이것을 신사 앞에 거치시킨 것이다.
광복 후에도 대포는 공터에 그대로 있었는데, 어느 날 「진일철공소」라는 고철공장이 마산시의 허가를 받아 망치로 두들겨 분해해서 뜯어 갔다고 한다.
일제침략을 증언하는 역사적 유물이 안타깝게도 고철로써 처분되어버린 것이다.
신사 주변과 신사로 올라가는 길가에 즐비했던 수많은 벚꽃나무들은 6·25 전쟁을 전후해서 주민들에 의해 모조리 베어져 땔감이 되었다.
배일감정도 있었지만 광복 후의 심각했던 물자난이 큰몫을 했다. 건축자재를 구한다는 것도 몹시 어려워서 집을 새로 짓기보다는 일본인들이 쓰던 건물을 가급적 그대로 고쳐 썼다.
마산 신사건물은「신마산교회」에 의해 잠시 예배당으로 사용되었다가, 1947년 제일여고의 전신인 마산 가정여학교가 이 자리에 들어서면서 교사(校舍)로 썼다.
가정여학교는 신사의 본전 건물을 교무실과 교장실로 썼고 부속건물을 교실로 사용했다.
부속건물은 그 후로도 오랫동안 남아서 몇년 전 허물 당시까지 학교 민속관으로 사용해 왔다.
학교와 학교주변에 아직도 신사의 흔적이 몇몇 남아 있다.
학교 안과 바깥에 있는 길고 넓은 돌계단이 옛 신사계단이다. 돌계단은 일제하 마산 부민의 근로봉사 작업이라는 명목의 강제노역에 의해 조성된 것이었다.
근로봉사 작업은 여러 차례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지금도 제일여고에 가면 입구의 돌기둥을 받쳤던 주춧돌이 교정의 정원석으로 남아 있고 담벼락에는 축조발기인이라고 밝힌 일본인의 이름을 음각한 돌도 박혀있다.
그리고 마산제일여고의 정문이 신사의 신주문을 닮았다고 하는 사람이 더러 있다.
물론 의도적으로 신주문을 모방하지는 않았겠지만, 보기에 따라서 그럴싸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아마 계단 아래에서 바라본 육중한 문이 보는 사람을 제압하고 있다는 사실과 옛 신사에 대한 기분 나쁜 기억이 엉키어서 불러낸 느낌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설립자 이형규씨에 의하면 이 문은 전주 체육관의 정문을 보고와서 그대로 설계해 지은 것이라고 한다.
<제일여고 정문과 신사 입구 계단으로 사용되었던 돌계단>
-왜 마산에 신사를 세웠나-
원래 신사는 일본의 토착신앙을 믿는 사람들이 참배하는 곳이었다.
이 토착신앙을 신토(神道)라고 하는데, 신토는 일본인들의 악령에 대한 두려움과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참배로부터 생겨났다.
그러므로 신토는 뚜렷한 교리도 없이 취락별 민간신앙의 범주에만 머물러 있었다. 그래서 마을마다 도시마다 그들이 받드는 주제신(主祭神)도 다양했다.
주제신은 천황가의 조상신이라고 생각하는 천조대신(天照大神)이 가장 많고, 역대의 천황, 유명한 귀족들, 무사나 문신, 각 씨족의 조상신을 마을의 수호신으로 신사에 모셔 놓고 있다.
이와 같은 공식화된 신사 이외에 일본에는 별별 희한한 귀신들을 모시는 곳이 많다.
여우를 제신으로 모시는 신사가 있는가 하면, 개를 모시는 신사, 술신을 모신 신사, 된장신을 받드는 신사, 김치를 받드는 신사, 만두를 섬기는 신사, 부뚜막신을 받드는 신사, 젓가락을 받드는 신사, 냄비를 받드는 신사, 굴뚝신을 받드는 신사, 쌀을 받드는 신사, 물을 받드는 신사, 곳에 따라서 남근(男根)이나 여음(女陰)을 제신으로 하는 신사도 있다.
여우를 제신으로 모시는 신사를 도하신사(稻荷神社)라고 하는데, 광복 이전의 한반도에도 마산을 포함해서, 서울 남산, 인천, 목포, 부산, 진해, 진남포, 신의주, 용천, 성진 등지에 있었다.
마산신사의 본전에는 천조대신을 봉안했지만, 경내 오른쪽에 여우를 모신 도하신사(稻荷神社)와 주호신(酒護神)을 모신 송미신사(松尾神社)를 병설했다.
마산에 송미신사를 특별히 세운 것은 마산이 술의 고장이기 때문이다.
마산의 기후와 수질이 양조에 적합해서, 일제 당시에 우리나라 청주의 6할이 마산에서 생산되었다고 한다.
마산의 일본인 양조업자들은 일년에 한차례씩 송미신사 앞에서 성대한 제를 올렸다.
일본인은 원시신앙에 머물러 있던 신토를 일본 천황의 가계에 맞추어 조직화하고 제도화하면서 그들의 세속적 지배에 유리하게 변질시켜 왔다.
그들의 논리는 이렇다.
일본황실의 조상은 천조대신(天照大神)이다. 천조대신의 직계종손인 역대의 천황은 만세를 일계로 이어나가는 현인신이다. 천조대신은 그의 직계손인 천황이 통치하는 일본국을 항상 보살펴 주고 보호해 준다는 것이고, 일본은 신국이고 황국이며 유신의 대도가 존귀한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 신사라는 이야기이다.
한반도에 가장 먼저 들어온 신사는 부산신사인데 이미 17세기에 일본인이 부산에 상주하면서 세워진 것이라고 한다.
그 후 1876년 한일수호조약이 체결된 후 각 지역의 각국 공동 조계(租界)에 일본 거류민의 수가 많아지면서 거류민들은 그 조계에 신사를 세우기 시작했다.
마산조계에도 일본인들이 꽤 많은 집단을 이루고 살았는데, 이 곳에 마산신사가 세워진 것은 1909년의 일이다.
마산신사는 일본상인 히로시 세이죠(弘淸三)의 창도로 건립되었다.
「마산항지」가 신사 건립에 대해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세이죠는 마산에 사는 일본인 유지들과 신사 창건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이사청을 방문해서 이사관으로부터 마산해관장 사택 예정지에 신사조성을 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는다.
마산신사는 세이죠의 말에 의하면 ‘거류민으로서의 조상신을 애호하는 염원과 진충보국 정신을 발양할 목적’으로 세워진 것이다. 1909년의 일이다.
이 때는 조선총독부가 한반도에 본격적인 신사정책을 펴기 전이고, 마산신사는 거류민들의 신앙적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세워진 것이었다.
-일제는 신사참배를 통해 순종을 요구했다-
1915년에 들어서 조선총독부는 신사설립 기준과 그 인가절차를 정한「신사사원규칙」을 발표하고, 일본거류민들에 의해 세워졌던 각지의 대부분 신사들이 총독부로 부터 공인되고 정리된다.
1925년은 일제가 한반도 내에서 신사정책을 본격화하게 된 획기적인 분수령이 된다.
그해 서울 남산에 5년여의 공사기간에 걸쳐 조영한 조선신궁이 완성된 것이다.
조선신궁은 한반도에 거류하고 있는 일본인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정신과 신앙심까지도 교화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조선신궁의 건립을 계기로 신사는 조선인을 소위 황국신민(皇國臣民)으로서의 충성을 강요하여 일본화(日本化)시키려는 방법으로 원용(援用)되었고, 혹독한 기독교 탄압으로 이어졌다.
1930년대의 일제는 중국 대륙 침략의 첫 발로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국을 세우고, 뒤이어 국제연맹에서 탈퇴하고, 드디어 노구교 사건을 유발하여 본격적으로 중국 본토를 침략하는 전쟁을 수행한다.
그들이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서 가장 절실한 것이 바로 한민족의 정신적 통일과 순종의 자세였다.
일제는 이러한 정신적인 지주를 신사 참배에서 찾으려고 했다.
조선총독부가 각 기관, 학교, 민간유지, 종교단체로 하여금 신사참배를 강요하기 시작한 것은 1937년의 일이다.
그 이듬해「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이 조직되었고 이 운동의 말단 기관으로 애국반이란 것이 있었는데, 애국반원과 경찰은 신사참배를 강요하고, 또 매일 아침 시민들이 참배를 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역할을 했다.
일제말기에 이르러 애국반이 460만명에 이르렀다고 하니 그 당시 신사참배의 광풍이 얼마나 참담했는가를 짐작할 수가 있다.
대부분의 조선민족이 신사참배에 굴복한 가운데 기독교인이 가장 강하게 거부했다. 끝까지 신사참배에 항거한 교회가 평양의 산정현교회였다.
산정현교회에는 민족의 거두라고 할만한 많은 인물들이 모여 있었는데, 당시 산정현교회의 장로는 한국의 간디로 통하는 고당 조만식 선생이었다.
고당 조만식 선생이 마산의 문창교회를 찾아와서 주기철(1897∼1944) 목사를 산정현교회로 초빙한 것은 1936년의 일이었다.
주기철 목사는 진해 사람인데, 오산학교와 평양 장로회 신학교를 졸업하고 경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고 부산 초량교회에서 첫 목회활동을 했다.
그는 이 때 이미 “신사참배가 기독교 교리상 어긋난다”며 ‘신사참배 반대 결의안’을 경남노회에 제출하여 정식 가결을 받아 내기도 했다.
그가 산정현 교회에 부임해 가기 전에는 마산 문창교회에서 목회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즈음 일제는 신사참배에 반대하는 교인들을 모조리 구속하고 고문하는 잔악성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주 목사가 산정현교회에 부임해서 새 교회당을 완공하고 설교를 할 때, “우리 교회는 일본 우상에 대항하여 신사참배를 절대로 아니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로 인해 주목사는 1938년 부터 1944년 마지막 순교를 할 때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총5년 4개월 간의 투옥생활을 하게 된다.
그는 옥중에서 몽둥이찜질, 채찍질, 쇠못 밟기, 거꾸로 매달아 코에 고추가루 뿌리기, 발바닥 때리기 등 상상도 할 수 없는 갖은 고문을 당하면서도 끝내 신앙적 변심을 하지않았다.
5번째로 구속돼 형무소에 갇히기 직전 자택에서 늙은 노모와 처자, 20여 명의 평양 산정현교회 교인들이 모인 가운데 그는 생애 마지막 설교를 남긴다.
“… 나는 바야흐로 사망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나는 저들의 손에 몇 번째 체포되었다가 나와서 이 강단에 다시 섰으나 나의 목숨을 빼앗으려는 검은 손은 시시각각으로 닥쳐오고 있습니다. 이제 나는 ‘사망 권세를 이기게 하여 주시옵소서’라고 기도 아니할 수 없습니다. 무릇 생명 있는 만물은 다 죽음 앞에서 탄식하며 무릇 숨쉬는 인생은 다 죽음 앞에서 떨고 슬퍼합니다. 사망 권세는 마귀가 사람을 위협하는 최대의 무기인가 봅니다. 죽음을 두려워 의를 버리며 죽음을 면하려고 믿음을 버린 사람이 얼마나 많이 있습니까. …”
숱한 고문으로 만신창이가 된 그는 평양형무소의 한 귀퉁이에서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주기철 목사의 장례>
-일본 귀신은 승신식을 통해 일본으로 갔다-
일본의 침략전쟁이 끝난 1945년 8월 15일 현인신으로 군림하던 천황은 보통 인간으로 돌아왔다.
조선총독부는 종전과 동시에 조선신궁에 안치해 두었던 어령대를 동경 궁내성으로 돌려 보내고 각 지역의 신사에서는 승신식을 일제히 실시하게 했다.
승신식이란 신사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관이 엄숙하게 주문을 읽고 위패를 불태우면 신령이 하늘로 해서 본국으로 돌아간다는 의식이다.
마산신사의 승신식은 총독부의 지시에 따라 9월 4일 집행되었다.
광복과 함께 한반도에서 광기를 부리던 일본의 군국주의 망령이 비로소 제 고향으로 되돌아가게 된 것이다.<<<
이현도 / 당시 창원대학교 독문학과 강사
출처: https://www.u-story.kr/748 [허정도와 함께 하는 도시이야기:티스토리]
'부르심의 축복 > 동행 in Masan 198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공기 좋고 물 맑아 인심이 후한 곳. 마산 (0) | 2015.08.01 |
---|---|
펌) 40년전 마산사람 연애 1번지 가포의 모습 기억 하시나요? (0) | 2015.07.18 |
펌) 옛 마산 역사와 유산, 지우면 끝인가요 (0) | 2015.02.02 |
펌) 네온사인에 가려진 월영대 (0) | 2015.01.22 |
마산 중앙 성결교회 (0) | 2014.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