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다음으로 많은 선교사를 파송한 것으로 알려진 한국교회 선교사 규모가 최근 통계에서 순위가 밀려났다. 하지만 발표 기관마다 순위가 들쑥날쑥한 데다 파송수도 달라 혼란스럽다는 의견이 많다.
‘세계기도정보(Operation World)’는 2010년 세계 선교사 규모를 발표하고 10만명을 파송한 중국을 1위에 올렸다. 2위는 미국으로 9만3500명, 3위는 인도 8만2950명, 4위는 한국 1만9950명으로 집계했다. 고든콘웰신학교세계기독교연구소도 지난 7월 선교사 통계를 발표하고 2010년 기준, 한국이 2만명을 파송해 6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 조사에서 1위는 12만7000명을 보낸 미국이었다(본보 10월 16일자 29면).
전문가들에 따르면 파송수와 순위가 다른 것은 통계 산출 방식과 선교사에 대한 나라별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세계기도정보는 ‘개신교 단체와 교회를 통해 선교사로 임명받은 2년 이상 된 타 문화권 사역자’를 기준으로 했다. 이에 따라 나라별로 선교사 수를 세계기도정보 측에 전달했는데 인도와 중국, 미국 등은 자국 내 선교사까지 포함했다. 실제로 인도나 중국, 미국에는 언어와 종족, 문화가 다른 사람들이 흩어져 있고 이들을 위한 선교사들이 활동하고 있다.
고든콘웰신학교세계기독교연구소의 경우는 가톨릭을 포함한 범기독교를 기준으로 집계했다. 연구소는 지난 7월 ‘1970∼2020 전 세계적 상황에서의 기독교’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산출 방법으로 “성공회와 독립교회, 미등록, 개신교, 로마가톨릭 등을 모두 포함한다”고 밝혔다. 그 결과 선교사 파송수에 가톨릭이나 이단종파의 선교사도 포함됐다. 연구소는 당시 브라질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가 각각 2∼5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모두 가톨릭이 강한 나라들이다.
전 세계 기독교 관련 통계 기관은 5개 정도로 꼽힌다. 74년부터 통계 결과를 발표한 세계기도정보를 비롯해 고든콘웰신학교세계기독교연구소, 로잔국제복음화운동, 해외선교연구센터(OMSC), 세계기독교백과 등이다. 대부분 기존 발표된 자료를 기초로 각국에서 보고한 문서와 설문조사 등을 기본 자료로 삼는다. 통계 기관은 이들을 종합해 발표하지만 파송수를 직접 확인할 방법은 없다.
박기호 미국 풀러신학교(선교학) 교수는 “한국교회는 외국으로 떠나야 선교사로 인정하지만 인도나 브라질교회 등은 국내 사역자도 선교사로 인정하기 때문에 파송수에서 차이가 난다”며 “선교사 개념이 국가마다 다르고 통계 기관 등은 이를 그대로 수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미국 선교사 수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장기선교사가 줄어들면서 단기선교사까지 통계에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미국은 2008년 금융위기를 정점으로 선교사가 줄고 있다. 남침례교 해외선교회(IMB)만 하더라도 2009년 5656명에서 2011년 5014명, 2012년에는 4885명으로 줄었다.
한국교회에 선교사 파송 2위라는 말이 등장한 것은 90년대 후반이다. 당시 2위는 7800명까지 기록했던 영국이었다. 하지만 한국이 98∼2000년 사이 증가했고 2000년 8103명을 기록하면서 역전됐다.
한국 역시 통계 결과가 다르다. 대표적 통계 기관인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는 2012년까지 파송된 선교사를 2만4742명으로 집계했다. 반면 한국선교연구원(KRIM)은 1만9798명으로 발표했다. KWMA가 회원 교단과 선교단체, 비회원까지 파악해 합산했다면 KRIM은 선교단체 파송, 2년 이상 장기 선교사 등의 기준을 적용했다.
선교 전문가들은 2위든 6위든 순위보다는 어떤 선교를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정국 KWMA 사무총장은 “선교사를 파송하지 않는 나라가 없고 선교사가 없는 나라도 없다”며 “지금은 한국교회만 선교한다는 식의 생각보다는 선교의 질적 향상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