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내 영혼 축복의 땅. 광야에서

태국 불교 현황 본문

선교 EH국/태국 선교

태국 불교 현황

อารีเอล 아리엘 ariel 2014. 6. 21. 20:55

태국 불교 현황

* 타이랜드 왕국(Kingdom of Thailand)

차 례

■ 태국 국가 개요 --------------------------------------- 2

1. 태국 불교 역사 ----------------------------------------- 3

2. 태국 불교 현황 ----------------------------------------- 3

1. 대표기구

2. 태국불교 대표

3. 태국 불교구성

4. 불교 통계자료 ---------------------------------------- 4

5. 승가교육 및 현황 -------------------------------------- 4

■ 불교 교육기관

■ 국가 승가시험

6. 공식활동 -------------------------------------------- 7

7. 수행기간

8. 스님들의 일상생활

9. 지역에서의 사찰기능 ----------------------------------- 8

10. 사찰을 찾는 신도들의 주요 목적 ---------------------- 8

11. 대표적 불교성지 -------------------------------------- 8

12. 승려양성 관련 -------------------------------------- 12

13. 생활 속의 불교문화 ----------------------------------- 17

■ 태국 기독교 현황 --------------------------------------- 17

■ 태국 국가개요

○ 국 명 : 타이랜드 왕국(Kingdom of Thailand)

○ 국 기 : 민족, 왕실, 종교를 각각 상징하는 적색, 청색, 백색 등 3 색

으로 되어 있음(1927년 채택됨)

○ 정 체 : 입헌군주제

○ 국가원수 : 푸미폰 국왕(His Majesty King Bhumibol Adulyadej)

* 차크리왕조 제 9대왕(1946. 즉위)

○ 총 리 : 수라윳 출라논(Surayud Chulanont) * 제25대 총리(2006.10.1.임명)

○ 의 회 : 양원제 ○ 정치형태 : 내각책임제

○ 수 도 : 방콕(Bangkok : 인구 약 564만명)

○ 면 적 : 51.4만K㎡(한반도의 2.3배)

○ 인 구 : 6,499.7만 명(2005년도말)

○ 민 족 : 타이족(81.5%), 화교(13.1%), 말레이족(2.9%), 기타(2.5%)

○ 종 교 : 불교(소승불교, 국민의 95%가 불교도)

○ 언 어 : 타이어(공용어)

○ 기 후 : 3월∼5월 고온, 6월∼10월 우기, 11월∼2월 비교적 저온

* 년평균 기 온 : 28℃(최고 32.5℃, 최저 23.7℃)

○ 서울과의 시차 : - 2시간

○ 화폐단위 : Bah(1Baht = 100Satang), US$1 ≒ 36.50 Baht(2006. 11월)

○ 주요자원 : 천연고무, 타피오카, 쌀, 주석, 텅스텐, 안티모니, 천연가스

○ 국내총생산 : 1,764억 불(7조 1,030억 바트) 1인당 GDP : 2,724불

■ 한국 대사관 및 교민 현황

○ 주 소 : 23 Thiam-Ruammit Road, Ratchadapisek, Huay-Kwang, Bangkok 10320 (태국발음 주소) : 이씹삼, 타논 티얌루엄밋, 라차다피섹, 켓 후어이쾅

○ 전 화 : 66(태국) - 2(방콕) - 247-7537/39 (Fax 247-7535)

■ 태국 교민현황

-. 시민권 또는 영주권 소지자 : 약 150명

-. 체류자 : 약 20,000명

-. 합 계 : 약 20,150명

■ 동포사회 형성과정

-. 제1세대는 현재 동포사회 원로들로서 2차대전 중 일본군에 징용되어 태국 혹은 동남아 지역에 진출 후 태국에 정착 하였으며 대부분 무역·제조업에 종사하여 대개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영위하고 있음. 현재 생존자는 몇 명되지 않음.

-. 제2세대는 월남전 종전후 태국에 이주, 정착한 교민들과 중동건설 붐과 함께 중동으로 태국 인력송출 등을 하면서 정착한 인사들로서 주로 무역·여행업, 요식업 등에 종사하며 교민사회 지도층임.

-. 제3세대는 80년대 후반이래 한국의 해외여행 개방에 따라 태국에 대한 한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관광산업관련 진출한 교민들과 한국 투자 진출증가 등 한·태 경제협력 관계 증진에 따른 파견상사 지사원 및 투자 업체 직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제4세대는 97년말 경제위기 이후 실직당한자들이 취업 등의 목적으로 태국에와서 주로 여행가이드로 활동하고 있음

■ 재외동포단체 현황

○ 재태국 한인회(Korean Association in Thailand)

- 창립 : 1964년

- 회장 : 전용창(제 25대)

- 회보 : <태국 한인소식> 발간(월간)

- Tel : (662) 653-3880~2, Fax : (662) 653-3668

○ 지역 한인회 지회

- 파타야 한인회, 푸켓 한인회, 치양마이 한인회

○ 재외동포학교

* 방콕한국국제학교

- 태국 내 최초 전일제 국제한인학교(2002.3.31 개교)

- 2002.2.18 한국 교육부 및 2003.9 태국 교육부로부터 정식인가를 획득하여 설 립, 운영 중이며, 2003.10 우리 교육부에 중등과정 설립취득

- 2006년도 현재(학생 145명(초등 1·6년, 중등 1년), 교직원 16명)

* 방콕 한인토요학교

- 토요학교로서 1964년 개교

- 위치 : 방콕한국국제한교 내(전화 : 07-500-2053/54)

○ 현지 주재 우리기관 및 상사 등 현황

- 상사, 금융기관, 투자진출업체 등 약 200여 개

- 방콕무역관 홈페이지(www.kotra.or.kr/bangkok)를 통해 상세내역 입수가능

- 여행사 : 200개(협회등록 업체 수)

- 요식업체 : 방콕 및 파타야 등 지역에 100여 개

1. 태국불교 역사

타이가 국가를 형성한 것은 13세기 전반에 들어 타이 중부의 스코타이를 중심으로 건설한 스코타이 왕국으로 등장하게 된다. 타이의 사료인 ‘라마캄헨 왕 각문(刻文)’ 에는 위로는 국왕, 왕족, 귀족으로부터 밑으로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주민이 상좌불교를 열심히 믿는 모습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14세기 중엽 차오프라야 강 하류에 성립한 아유타야 왕국에서도 상좌불교는 왕제(王制)와 함께 국가질서를 지탱하는 중요한 존재였다. 국왕은 불교사원을 건설하고, 해마다 카티나 옷(衣)을 기증하고, 불교유적을 참배하는 등 여러 기회를 통하여 숭불(崇佛)의 모범을 보임으로써 국내의 불교적 질서유지에 노력하고 있었다. 수도 아유타야는 전형적인 항구도시로 그 인구 구성은 국제적 색채를 강하게 띠고 있었다. 그래서 종교도 불교 외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가 공존하고 있었다.

이들 다른 종교에 대해 역대 타이 왕국은 항상 너그러운 태도를 보여 종교탄압은 거의 없었다. 다만 이러한 다른 종교가 불교도에 영향을 미쳐 사회질서의 근간을 뒤흔들 정도로 위험을 느낄 때에는 주저하지 않고 금지령을 내려 저지 조치를 취하였다. 이만큼 불교적 질서유자기 타이 왕국에서는 중대한 정치적 관심사였던 것이다. 아유타야 왕국의 말기에 등장한 로마코트 왕(1733~1758 재위)은 불교발전에 온 힘을 쏟았는데, 그 시기는 학문과 예술도 크게 번창하였다. 그는 네덜란드의 식민지가 되어 세력이 약해진 불교를 재건하려는 스리랑카 왕의 요청을 받고, 우팔리 장로를 대표로 한 불교 사절을 캔디에 보낸다. 그리하여 7,000명의 비구와 3,000명의 사미에게 수계하여 스리랑카 상가의 부흥을 돕는다.

오늘날 스리랑카 최대의 불교교단인 시암 니카야(시암파)의 전통을 이때부터 시작한다. 현 라타나코신 왕조의 시조인 라마 1세 왕(1782~1809 재위)은 아유타야 왕국 멸망 후 잇따른 전란으로 어지럽기 짝이 없는 국내의 종교적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1788년 타이식으로 해서 제9번째의 결집을 방콕에서 소집하였다. 이때 제작된 삼장(三藏) 경전을 ‘대황금판삼장경(大黃金版三藏經)’이라 부른다. 더욱이 왕은 출가자의 지계(持戒)를 엄격히 감시하고, 불순분자를 배제하여 잃었던 상가의 위신을 회복하기 위해 파계승을 강제로 환속시켰다. 1869년에 즉위하여 42년간의 재위 기간 태국을 근대 국가로 변모시키는 데 성공한 라마 5세는 1902년에 ‘상가통치법’을 공표하여 전국에 산재하는 모든 사설 사원들을 법왕(Sangharāja)의 통일적인 감독 하에 두는 조직을 만들어 승려들의 본사 소속제 실시와 신분 증명서를 발급하였다. 이로부터 태국 승가는 중앙집권적인 조직을 이루게 되었으나 결과는 승가의 보수화를 초래하였다. 그 후 태국은 1932년의 입헌 혁명에 의해서 절대 왕권제가 붕괴되었고, 이에 따라서 승단에도 민주적인 의회 제도에 의해서 1942년에 상가법이 제정되었으나, 1957년과 59년의 두 차례의 쿠데타에 의해 정권을 잡은 사팃 타나라트(Sarit Thanarat)가 민주적인 상가법 때문에 해이해진 상가의 위신을 국가의 감독 강화에 의해서 회복하기 위해서 1963년에 새로운 상가통치법을 제정하였다. 이 상가법에 의해서 실제로 정부가 임명권을 갖는 법왕에 의한 상가의 일원적인 지배가 실현되어 정부에 대한 상가의 종속은 더욱 진행되게 되었다.

2. 태국불교 현황

1. 대표기구 : 태국불교협회(Samacom Buddha Sasana Muag Thai)

- 설립년도 : 불기 2476년 2월 28일(1933년 2. 28)

- 주소 : 41 Patit Rd Panakon Bangkok Thailand

- 기능 : 참선수행 공부지도, 불교행사 주관, 회원관리, 회의주관(월 1회),

청소년교육(종교), 세미나 주최, 지방행사, 불교방송(Am/Fm), 종교지발간,

종교영화(학교) 관련 관장

2. 태국불교 대표 : 승왕관련

- 승왕 : H.H. SOMDET PHRA NYANASAMVARA

* H.H.(His Holiness)는 (영어로 승왕에 대한 존칭의 의미)

* PHRA는 스님, SOMDET은 승직명, 이름은 '냐나삼와라' 임

- 임기 : 종신제

- 주석사찰 : Balom Nivet Wihan Bangnampu Bangkok

- 선출방식 : 원로의원(21명)회의 선출한 뒤 국왕이 인준

3. 태국 불교구성

- 단일종단

- 임원 : 33명(태국불교협회에서 선출, 2년마다 새로 구성)

- 원로의원 : 21명 구성

※ 참고 : 태국의 불교는 법왕(승왕)을 중심으로 하는 통일종단으로 종파의 구별은 없다.

몽구트왕의 아들이 부친의 뜻에 따라 1894년 독립한 파로서 계율을 엄격 히 지키며, 개혁파인 담아유트파와 기존의 종파를 마하니카이파로 부르고 있음. 차이점은 가사의 착용법과 독경법 정도로, 교리와 수행법은 같다.

<1> 마하니카이파 (Mahanikai)

- 특징 : 다수파, 대중파,

- 대표사원 : 왓 마하탓(Wat Mahathat) 사원

- 불교대학 : 마하출라롱콘 불교대학(1947년 설립, 10개 캠퍼스, 26개 분교)

대다수 재학자는 마하니카이파 승려

<2> 담마유트파 (Dharmayut)

- 특징 : 소수파, 정통파, 개혁파, 복고적, 왕실지원으로 긴밀 관계, 계율강조

- 불교대학 : 마하마쿠트 불교대학(1893년 설립)

- 유례 : 라트나코신 왕조의 왕들은 불교에 대한 신앙심이 강하여 라마 3세 는 전국에 많은 사원을 건립하였고, 그의 이종사촌으로 즉위 전 27년간 승 려생활을 한 라마4세 몽쿠트(1804~1868)왕은 복고적 불교부흥운동을 일 으켰으며, 그 결과로 형성됨.

4. 불교 통계자료

- 불교 : 태국국교

- 전체 사찰수 : 약 3만~3만 5천 곳

(마하니카이 소속 28,000여 곳, 담마유트 소속 약 1,500여 곳)

- 전체 승려수 : 비구 - 약 280,000명, 사 미- 약 30,000명

(마하니카이파 소속 : 비구 약 260,000명, 사미 약 88,000명)

(담마유트 소속 : 비구 약 20,000명, 사미 약 10,700명)

- 전체 불자 수 : 약 국민의 95%(약 5,600~6,000만 명)

5. 승가교육 및 현황

- 승려가 되기 위한 조건 : 20살 이상의 심신이 온전한 미혼의 남자

- 승가구성 : 비구 스님으로 구성- (단계 : 찬뜨리, 찬토, 찬엑)

- 필수 교과과목 : 9단계에 걸친 빨리어 공부(보통 7~8년 소요)

- 빨리어 과목 : 아함경이나 계율, 예불문 등

- 행자기간 : 없음(행자라는 과정이 특별히 있지 않음)

- 사미과정 : 20살 이전에 출가한 스님(samanen)으로 절에서 생활하며 <사미>만을 위한 특별 커리큘럼은 없음

- 비구 스님의 수계 : 227계

- 교육 기관 : 국립대에 불교대학이 있음. 큰 절에 자체 교육기관이 있음

- 비구 스님의 일반 교육 : 보통 규모가 큰 절에서 교육, 시골 등 작은 절에 교육을 할 수 없으면 규모가 큰 절에서 위탁교육

- 예비승려와 비구 스님들의 의복의 구분 : 20세 미만의 사미는(samanea) 은 양쪽 어깨를 다 보이지 않게 착용. 비구 스님은 주황색 가사를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며 수함.

■ 불교 교육기관

(1) 전통교육기관 : 국가시험을 준비하기위한 교유기관

* 팔리학교(pāli school) : 비구와 사미 승려만을 위한교육기관

(’95년 통계- 전국의 학교 수 ; 972개, 학생 수 ; 33,954명)

* 교리학교(Dhamma school) : 비구와 사미 승려의 교리시험을 위한 학교

(2) 일반인들을 위한 학교

- 일요일 불교학교(Sunday School - Dhamma School)

(’97년 통계 - 학교 수 ; 979개, 학생 수 ; 136,448명)

(3) 불교대학 (방콕시내 위치)

- 마하니카이파의 ‘마하출라 롱콘’ 불교대학

- 담마유트파의 ‘마하마쿠트’ 불교대학

■ 국가 승가시험

- 각 사원에서의 승려 교육은 국가에서 관장하는 팔리어 및 경전 시험과 교리 시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1) 팔리경전 시험 - 팔리앤(parian)

-. 9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며, 매년 2월에서 3월에 일제히 시험

* 1단계, 2단계 ; 팔리어 문법(법구경과 주석서 1~4권)

* 3단계 ; 팔리어 문법(법구경과 주석서 1~4권)

* 4~6단계 ; 법구경과 그 주석서(태국어→팔리어 번역) (단계별 경전구분)

* 7단계 ;?길상의천명? (태국어→팔리어 번역)

* 8단계 ; 팔리어 作詩 사만타파사디카(태국어→팔리어 번역)

* 9단계 ; 팔리어 作詩 일반적인 태국어의 팔리어로의 작문

?淸淨道論? 태국어→팔리어 번역

※ 마지막 9단계의 시험에서 논서인 아비담마와 ?淸淨道論?의 태국어를 팔리어로 번역하는 시험을 치른다. 9단계를 합격하면 대학 졸업 자격을 얻는다.

(2) 교리 시험 - 낙 탐(Nak Tham ; Dhamma scholar or student)

-. 낙 탐(原義는 佛法을 배우는 학생 또는 학자)이라고 불리는 교리 시험은 1910년에 처음 실시되었다. 교리 시험은 3급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3급에서 1급에의 순서로 급 수가 올라간다. 낙 탐 교리 시험의 합격에 따라서 팔리경전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 이 달라진다. 즉, 낙 탐 3급의 합격자는 팔리경전 시험의 1~3단계까지 응시할 수 있으 며, 낙 탐 2급의 합격자는 팔리경전 시험의 4~6단계까지, 낙 탐 1급의 합격자는 팔리 경전 시험의 7~9단계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낙 탐 시험은 팔리 시험과 비교하면 그다지 어렵지 않아서 1년에 한 급씩은 어렵지 않게 통과한다고 한다. 시험은 1년에 한 번 11월에 전국의 600여 군데의 시험장에서 일제히 치러진다. 낙 탐 시험의 내용은 다 음과 같다.

<낙 탐 3급> : ①붓다의 생애 ②교리(Dhamma) ③계율(vinaya) ④태국승가법

⑤ 교리에 대한 작문

<낙 탐 2급> : ①붓다의 제자들의 생애 ②교리Ⅱ ③계율Ⅱ ④태국승가법Ⅱ

⑤ 교리에 대한 작문Ⅱ

<낙 탐 1급> : ①불교 일반 ②교리(Dhamma)Ⅲ ③계율(vinaya)Ⅲ ④태국승가법Ⅲ ⑤ 교리에 대한 작문Ⅲ

6. 공식활동

- 부처님오신날 : 음력 4월 15일이 부처님오신날(Vesak Day, yisakabuca)

(UN지정 부처님오신날 행사를 각국의 주요 불교 인사들이 참여하여 개최)

- 정기 법회 및 행사 : 1달에 2번(wanpra), 예불(법회) 및 공양(스님들께 공 양올림)

- 사용 불기년도 : 2550(2007)년

- 국제기구 : 방콕에 본부가 있는WFB/Y(World Fellowship of Buddhism)

(여러 세계 국제불교 행사에 참여 활동하고 있음)

7. 수행기간

- 안거 수행기간 : 우안거(음력 7월15일~음력10월 15일, 3개월간)

- 태국 내 모든 사찰에서 우안거를 실시하며, 안거나 해제 땐 공휴절로 국가 의 큰 행사를 함. 온 국민이 스님들께 공양을 올림(기독교 학교도 단체로 학교에 스님들을 모시고 공양 올림)

8. 스님들의 일상생활

05:00~6:00 기상 및 아침예불

06:00 탁발

07:00 아침 공양 후 울력이나 공부

11:00 점심공양

17:00 저녁예불

* 오후 불식으로, 씹지 않고 마시는 것은 되며, 여가시간에는 개인 공부를 함

9. 지역에서의 사찰기능

- 태국은 행정 기관과 같은 조직을로 道에는는 道 자문 스님, 郡은 郡 자문 스님, 面은 面 자문 스님 등이 있어서 행정조직과 맞물려 있음,

행정기관에 종교과가 있어 스님들을 관리하며, 지역의 중심이 절이어서 공 립초등학교 등이 사찰 내에 건립되어 있음

10. 사찰을 찾는 신도들의 주요목적

- 천도제 등 제의식과 교리강좌, 수행, 사찰 참배, 기도 중 주요부분만 선택

<사례>

- 불편한 마음을 편케 하기위해

- 사찰이나 스님들께 공양 올리기 위해서

- 보시하기 위해

- 태어난 아이 이름 짓기 위해, 죽으면 화장하기 위해 반드시 항상 절에 감

- 대부분의 공립학교에 가면 절이 있으니 항상 감

- 공양과 천도제를 위해서

- 불교행사에 동참하고 위해서

- 집안의 일을 물어 보기 위해

11. 대표적 불교성지

- 최고 성지 : 왓 프라께오(방콕 에메랄드부처님),

왓 껫(라마 1세가 세움)

왓 나콘빠톰(탑이 가장큰 절) 등

<방콕지역 주요사찰>

* 왓 트라이밋(황금불상 사원 Wat Traimit)

* 왓 벤차마보핏(대리석 사원 Wat Benchamabopit)

* 왓 수탓(Wat Suthat, The Giant Swing)

* 왓 사켓(Wat Sa Ket, The Golden Mount)

* 왓 인드라비아(Wat Indravihar)

* 왓 타마몽콘(Wat Thammamongkon)

* 왓 마하탓(Wat Mahathat, The Temple of the Great Relic)

<아유타야 지역 주요사찰>

* 왓 나프라멘 (Wat Na Phramen)

* 왓 프라마하탓 (Wat Phra Maha That)

* 왓 랏부라나 (Wat Ratburana)

* 왓 야차이몽콘(Wat Yai Chai Mongkon)

* 왓 프라치오 파난초엥(Wat Phrachao Phanachoeng)

* 왓 수완다람(Wat Suwandaram)

* 왓 프라시산펫(Wat Phra Si Sanphet)

* 왓 타미카랏(Wat Thammikkarat)

* 왓 차이왓타나람(Wat Chaiwattanaram)

- 주요사찰 주지 스님 : 종교회의에서 추대-선거, 종신제

■ 방콕의 주요사원

* 왓 마하탓(Wat Mahathat)

- 랏따나꼬씬 이곳 저곳에 자리하고 있는 왓 마하탓 단지는 동남아시아 불 교 전파의 최고 중심지다. 이곳의 불교 대학 마하탓 라자비 댤라야는 라오스, 캄보디아와 베트남 승려들까지 찾는 곳이며, 사원은 마하니카이 수도회의 태 국 본부다. 왓 마하탓은 방콕의 다른 어느 사원보다 편안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수도원으로 널리 알려진 참선소다.

 주소 ; 3 Th Maharaj, Ratanakosin 전화 02-221-5999

참배시간 : 9a.m~5p.m <무료입장>

* 왓 싸껫과 황금산(Wat Saket & Golden Mount)

- 왓 싸껫의 황금산 주변을 따라 있는 보이는 경치가 볼 만하다. 사원 축제 기간인11월에는 아름다운 연등 행렬의 촛불이 산 주변을 따라 꼭대기까지 밝힌다. 이 산은 라마 3세가 세운 커다란 쩨디가 땅이 너무 물러 무너지자 인위적으로 만든 것으로, 오랫동안 방치되었다가 라마 4세가 산꼭대기에 작 은 쩨디를 세우고 나서, 여기에 라마 5세가 쩨디 안에 인도에서 가져온 부처 님의 유물을 모셨다.

 주소 : Th Chakkaphatdi 전화 : 02-223-4561

참배시간 : 7.30a.m~5.30p.m(입장료 10바트>)

* 왓 트라이밋 (Wat Traimit)

- 왓 트라이밋의 대표유물은 5.5톤에 높이가 3미터나 되는 세계 최대의 황금 불 상이다. 13세기에 지어진 사찰로 거의 50년 전 우연히 발견되어 왓 트라이밋(황 금 불상)의 사원은 명소가 되었음.

 주소 : Th Traimit, Chinatown 전화 : 02-623-1226

참배시간 : 8a.m~5p.m(입장료 20바트)

12. 승려양성 관련

(1) 태국인과 불교

최근의 통계에 따르면 태국인의 약95%가 불교신자이며 전국에 3만 5천 여 개의 사찰이 있다. 대부분의 태국인에게 있어 불타의 가르침은 선악을 판단하는 도덕과 윤리의 기준이며 태국인의 우주관과 세계관 그리고 가치관과 생활양식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끼쳤다. 오늘날의 태국인에게 있어 불교는 종교라기보다는 생활이라는 느낌을 준다. 태국의 남자들은 일생에 한 번 이상 절에 들어가 승려수업을 한다. 승려수업이란 일정기간 머리를 깎고 출가하여 승려로 불법을 익히고 불타의 가르침대로 행하는 것으로 오래 전부터 내려오는 불교적 전통이다. 특히 태국인들이 3개월간 행하는 단기 승려수업은 불교의 경전에도 나타나 있지 않고 부처님 생존 당시에도 없었던 태국 고유의 풍습으로 보인다.

(2)승려수업의 유래

* 유래 : 수코타이 시대 때 시작되어 점차 형태를 갖추어 아유타야 시대 중기에 완전한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

* 기간 : 과거에는 남자가 20세가 되면 3년간 승려수업을 하는 경우도 있 었으나, 대개는 3개월로 행해지고 사정에 따라 짧게하는 경우도 많다.

* 풍습 : 결혼 전에 성인남자는 누구나 한번 승려수업을 해야 하는데 이를 ‘부엇껀비얏’ 이라함. 또 승려수업을 하지 않은 사람을 ‘콘딥’이라 해서 ‘익지 않은 사람’으로 선악이나 사리를 판단할 줄 모르는 미숙한 사람으 로 취급하는 문화적 풍습이 있어 여자 측의 부모는 신랑감의 가문이나 재산, 인물 등을 보는 것 외에 승려수업 실행 여부를 중요시 여기는데 이는 외적조건 외에도 내면을 보고자 하는 것이다.

※ 참고 : 승려수업은 왕실에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기록에 의하면 태국 최초의 통일 왕국인 쑤코타이 왕국 시대에 리타이 왕(1347~1374)이 왕의 신분으로서는 최초로 승려수업을 하였다고 한다. 이는 태국의 ‘탐마라차’라 불리는 온정주의적 법왕(法王)과도 관련이 있다. 태국의 고대법전인 프라탐마삿에 의하면 탐마라차는 시법(十法)을 준수할 때만이 국왕으로서의 정당성을 갖는다고 가르치고 있다. 시법은 국왕이 이상적으로 준수해야 할 10가지의 통치덕목을 언급한 것으로 보시(布施), 지계(持戒), 희생, 공정, 온화, 노력, 불노(不怒), 불해(不害), 인내, 불역(不逆)등을 말한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법에 따라 정의롭게 통치하는 왕을 가장 이상적인 왕으로 여기고 그를 ‘탐마라차’라고 불렀다. 따라서 탐마라차는 법을 준수함으로써 통치의 정당성을 갖게 되며 만약, 법을 거슬러서 불법(不法)을 저지르는 왕이 있을 경우에는 그 왕의 통치권을 거부하는 일이 정당화되기도 했다. 이러한 까닭으로 왕실의 승려수업은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태국의 현재 국왕인 라마9세 푸미폰국왕도 1956년 10월 22일부터 왕실사원에서 15일간 단기 승려수업을 하면서 탁발의식을 행하고 엄격한 수도생활을 함으로서 불타의 가르침을 행하는 탐마라차의 모습을 보여 준 바 있다.

(3) 승려수업의 종류

1) 사미승으로 승려수업 : 만 20세가 되지 않은 남자가 출가하여 승려수업을 할 경우 ‘반파차’ 또는 ‘부엇뻰넨’이라고 한다. 출가 기간 동안 10계를 지키며 수도생활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공덕은 어머니에게로 돌아간다고 믿는다.

2) 스님으로 승려수업 : 만 20세 이상의 남자가 출가하여 승려수업을 하는 경우 ‘웁빠솜봇’ 또는‘부엇뻰프라’라고 한다. 227계를 지키며 수도생활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공덕은 아버지에게로 돌아간다고 믿는다. 결혼 전에 하는 승려수업도 여기에 해당한다.

3) 명복을 비는 승려수업 : 부모나 일가친척 중 은혜를 많이 입은 사람이 사망했을 경우 ‘부엇나파이’라고 한다. 이는 고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장례식이 끝나고 일정기간 출가하여 하는 승려수업으로 이때의 공덕은 고인에게로 돌아간다고 믿는다.

4) 보은으로 하는 승려수업 : 태국인은 간절히 바라는 소망이 있을 때 그 소망이 이루어지게 되면 얼마간 승려수업을 하겠다고 약속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그 일이 실제로 이루어졌을 때 태국사람은 감사하는 마음으로 자신이 약속한 바에 따라 일정 기간 승려수업을 하는데 이를 ‘부엇깨본’이라고 한다.

※ 참고 : 승려수업은 태국인들에게 있어서 부모에게 보은이며 효도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이유는 태국인 들의 믿음 속에는 자식이 승려수업을 하게 되면 그 공덕이 부모에게로 돌아간다고 믿기 때문이다. 태국말에 ‘헨 차이 파르엉’ 이라는 말이 있는데 황색 옷자락 끝을 잡고 극락으로 들어간다는 뜻이다. 여기서 황색 옷자락은 승복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자식이 승려 수업을 하게 되면 그 공덕으로 부모가 극락에 간다는 의미이다. 태국의 승려수업에는 다음과 같이 여러 종류가 있다.

(4) 승려수업을 하기 위한 조건

① 폐병 등과 같은 심한 병이나 질환을 앓고 있지 않아야 한다.

② 출가자는 남자이어야 한다.

③ 그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은 자유인이어야 한다.

④ 빚이 없어야 한다.

⑤ 공무원일 경우 해당 부처에서 허락이 있어야 한다.

⑥ 부모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⑦ 또한 출가자는 만 20세가 되어야 한다.

⑧ 시주그릇과 승복이 있어야 한다.

※참고 : 출가의식과 환속의식은 가문의 큰 경사에 속한다. 출가의식은 집에서 성대하게 행하는데 부유한 가정에서는 2~3일간 큰 잔치를 벌이기도 한다. 출가의식에 비용을 부담하거나 직접 행사에 참여하는 일은 큰 공덕을 쌓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태국에서 출가자가 있는 경우 집안, 또는 마을의 잔치가 되기도 한다.

(5) 출가의식

1) 출가심사절차

① 20세가 된 성인남자가 출가할 경우에 출가예정자의 부모는 출가 예정자를 대동하고 가까운 절을 찾아 출가의사를 밝힌다.

② 절의 주지는 출가예정자와 그의 부모를 접견하고 출가예정자의 출가자격을 심사한다.

③ 주지가 출가예정자의 적격함을 인정하고 출가를 허락하게 되면 출가예정자는 출가지원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 참고 : 출가할 사람은 부모가 준비해 준 향·초·꽃을 쟁반에 담아 들고 집안 어른들과 친지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인사를 한다. 인사를 받는 사람은 축하해주고 형편에 따라 축의금을 주기도 한다. 태국에서 승려수업을 위해 출가하는 경우에 직장에서 유급휴가를 허락하는 것이 당연지사로 되어있다.

2) 출가의식 연습: 출가의사를 밝히고 출가심사를 거쳐 출가허락을 얻게 되면 출가 예정자는 ‘낙’또는 ‘짜오낙’이라 불리게 된다. ‘낙’은 출가의식과 승려로써 지켜야 할 예절을 익혀야 한다. 또 출가의식에서 사용되는 팔리어 문구를 익히고 승려로서 예불드릴 때 사용하는 팔리어 경전 등을 암송하여야 한다. 먼저 부처님 앞에 엎드려 절하는 법과 승려로 출가를 청하는 문구와 수계를 청하는 문구 그리고 승려 될 자격을 묻는 말에 대한 답을 하는 문구들을 충분히 연습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구들은 팔리어로 되어 있어 연습해 두지 않으면 출가의식을 제대로 거행할 수 없다.

3) 생활용품 준비 : 출가자의 부모나 보호자 또는 친지들은 출가예정자가 허락을 득하면서부터 출가자가 출가하여 사용하는 여러가지 승려용품을 준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승려의 생활용품을 ‘8 버리칸’이라고 하는데 ①응량기 (시주그릇) ②승복 하의 ③승복 겉옷 ④승복 상의 ⑤허리띠 ⑥정수천 ⑦바늘 ⑧면도칼(삭발용) 등 이다.

4) 출가전야 : 출가 전날을 ‘완쑥딥’이라 한다. 이날은 다음날 스님을 대접할 음식과 필요한 도구를 마련하고 출가의식을 거행할 장소를 청소하고 필요한 치장을 한다. 또, 스님에게 시주할 음식도 따로 만든다.

5) 출가자 위로의식 : 출가자 위로의식은 출가자의 일가친척과 친지들이 모여 속세를 떠나 불가로 들어가는 출가자의 불안감을 덜어주고 용기를 북돋워 주기 위한 것으로 출가 전날 출가자의 집에서 하게 된다. 출가예정자가 삭발을 하고 흰색 천으로 만든 예복을 단정하게 입은 후에 식장에 들어와 앉게 되면 참석자들이 출가 예정자를 중심으로 둘러앉아 준비해온 물품을 놓는다. 여기에는 계란을 얹어 놓은 밥과 승복, 응량기 그리고 향과 초등의 예물이 포함된다. 준비가 끝나면 의식을 주관하는 주례가 들어와 정해진 절차에 따라 의식을 하게 된다. 의식을 마친 후에는 참가자들에게 향응을 제공하게 되며 여러 가지 부속 행사가 잇따르게 되는데 그 내용은 출가자의 경제사정과 여건에 따라 다르다.

6) 출가행렬 : 출가의식에 앞서 출가자를 코끼리나 말, 차 또는 배에 태우고 행렬을 지어 사원으로 가게 된다. 때로는 사람에 의해 목말을 태우는 경우도 있다. 이때 출가자의 부모는 아버지가 응량기를 어머니가 승복을 안고 가족친지들은 출가자가 승려로서 생활할 때 사용할 여러 가지 물품들을 들고 행렬에 참가한다. 이때는 태국전통의 음악이 연주되고 참가한 모든 사람들이 출가자의 출가를 축하하고 때로는 춤을 추면서 절로 간다. 행렬이 절에 도착하면 불당을 세 바퀴 도는데 ‘탁씬나왓’이라 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돈다. 세 번 도는 의미는 첫 번째 바퀴는 부처님, 두 번째 바퀴는 부처님의 가르침, 그리고 세 번째 바퀴는 스님의 은덕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이다. 불당을 세 바퀴 돈 후에 불당 안으로 입당하게 되는데 이때 출가자의 아버지가 왼쪽에서 어머니는 오른쪽에서 출가자를 부축하고 들어간다. 불당에 들어선 출가자는 꽃과 향과 초를 바치고 계율을 청하면서 수계의식이 시작된다.

7) 수계의식 : 출가자가 불당 안으로 들어와 세 번 절한 후에 부모로부터 승복을 받고 수계의식이 시작된다. 모든 의식에 있어 수계자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 그리고 모든 염불은 팔리어로 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출 가자의 자격을 묻는 13개항의 질문과 출가자의 이름 그리고 사표가 될 스 승의 이름을 묻는 질문을 거쳐 모두 227계를 받게 된다. 이렇게 하여 수계 식 끝머리에서 출가자는 승복으로 갈아입고 승려가 되는데 이때부터 출가 자는 엄격한 승려생활을 하게 되며 227계를 모두 지켜야 한다. 수계의식이 끝나면 스님들께 공양하고 참석자 모두에게 음식을 대접하게 된다. 태국인 들의 의식 속에는 이렇게 출가의식에 참가하는 것도 공덕을 쌓는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서 누가 출가하든 간에 출가의식은 그 마을의 잔치나 축제처럼 치러진다.

8) 승려생활 : 일단 승려가 되면 아침에 눈을 뜨면서부터 저녁에 잠자리에 들기까지 모든 생활이 계율에 따라 행해져야 한다. 태국의 상좌부불교는 승려의 경제활동이나 생산 활동을 전면 금지하므로 승려의 식생활은 모두 재가신도들이 바치는 음식물 공양으로 이루어진다. 승원 또는 사찰에는 부엌도 없고 채소를 가꾸는 텃밭도 없다. 승려는 돈이나 금품을 휴대할 수 없으며, 음식은 재가신도들이 보시하는 대로 공양하기 때문에 육식, 채식을 가리지 않지만 하루에 아침과 점심 두 끼만을 먹으며 정오 이후에는 씹어서 먹는 음식물을 일체 먹지 못한다.

※ 참고 : 승려의 하루는 탁발로 시작된다. 아침 다섯시 경에 일어나게 되면 모두가 침소에서 나와 목욕을 하고 정해진 장소에 모이게 된다. 승려들이 모두 모이게 되면 마을에 탁발을 나가게 되는데 마을 전체를 구역별로 분류하여 거기에 따른 조를 편성하여 나누어 가게 된다. 따라서 어느 한집도 승려가 다녀가지 않는 집이 없다. 태국인들의 불교에 대한 믿음은 독실하여 스님에게 공양하기 전에는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다. 탁발을 마치고 돌아오면 지정된 장소에서 식사를 하게 되는데 절대로 자신이 밥을 퍼서 먹을 수 없다. 절에서 일하는 소년들이 밥과 반찬을 떠서 바쳐야 비로소 먹을 수 있다. 이를 ‘빡켄’이라 한다. 마을 전체에서 탁발해온 음식을 골고루 나누어 먹기 때문에 승려의 식사는 매우 다채롭다.

아침식사가 끝나고 오전 9시에 아침 예불을 올리게 되면 점심식사 시간까지는 자유롭다. 이때에 승려들은 원내를 산책하기도 하고 불경을 공부하기도 한다. 태국의 승려들에게는 육식과 흡연이 허용되는 반면에 정오 이후의 식사는 금지되어 있다. 혹 외출을 하더라도 승려는 반드시 12시 이전에 식사를 마쳐야 한다. 불가피한 사정이 있더라도 12시 15분을 넘어서 식사를 하는 것은 곧 계율을 어기는 것이 된다.저녁 4시에 오후 예불을 올리고 나면 승려의 하루 일과는 끝나는 셈이다. 나머지 시간에는 승려가 원하는 일들을 할 수 있다. 주로 불경을 공부하거나 청소를 하기도 하고 빨래를 하기도 한다. 처음 승려생활을 하는 경우에는 일정기간 다른 스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는다.

(13) 생활속의 불교문화

태국인들의 승려에 대한 믿음은 대단하다. 태국에서는 불타만을 섬기는 것이 아니라 스님에 대한 법력을 믿는다. 태국인들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목에 걸고 다니는 것은 단순한 목걸이가 아니라 스님 상이다. 태국인들에게는 어느 스님은 질병에 걸리지 않게 하는 영험이 있으며 어느 스님은 재물을 가져다 주는 영험이 있고 어떤 스님은 화를 입지 않게 하는 영험이 있다는 등의 믿음이 있다. 태국인들은 절교하는 것을 ‘시주그릇을 엎는다’고 한다. 태국인들은 하루를 시작하기에 앞서 승려에게 시주하며 1년을 시작하는 새해 첫날에도 시주로 한해를 시작한다. 생일이나 집들이 결혼식에도 맨 먼저 시주를 하며 큰 돈을 벌면 일부를 절에 바치기도 한다. 사업이 안되거나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 사원을 찾아 성수를 받고 이를 씻어낸다. 태국인은 남성의 경우 태어날 때는 집에서 태어나지만 일정기간 승려수업을 통해 온전한 불교신자로 다시 태어나며 죽어서는 모두가 절로 간다. 태국의 절 안에는 화장터가 있어 업을 다한 사람의 육신을 화장하고 영혼을 받아들여 쉬게 한다. 고인의 유골은 절에 안치해 놓고 있다가 중요한 기일에는 유족들이 향과 초를 가지고 절에 가서 명복을 빈다.

※ 참고자료 : 태국 기독교 현황

○ 종교 현황

- 불교 93.4 ~ 95%. 타이, 라오, 샨, 일부 중국인 등. 영을 섬기는 혼합주의

- 회교 4%. 말레이인과 남쪽 끝 지역의 타이족 일부

- 중국종교 1.6%. 많은 중국인이 불교 수치에 포함되어 있음

기독교 ; 1%. 최대 0.84%. 성장률 3.9%

* 개신교 0.43%. 성장률 7%.

- 교단 56개 / 교회 1,816개 / 성인교인 116,873명 / 최대치교인 226,503명

* 복음주의자(인구의 0.3%)

- 성인교인 82,000명 / 최대치교인 162,000명

* 오순절/카리스마틱 0.08%

- 성인교인 10,800명 / 46,300명

○ 태국 교민현황 약 20,150명

- 시민권 또는 영주권 소지자 : 약 150명

- 체류자 : 약 20,0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