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내 영혼 축복의 땅. 광야에서

펌) 마산 민간인 학살 진상 규명 운동 본문

선교 한국/아 ! 대 한민국

펌) 마산 민간인 학살 진상 규명 운동

อารีเอล 아리엘 ariel 2024. 9. 24. 17:20
마산 민간인 학살 진상 규명 운동

 

항목 ID한자분야유형지역시대집필자
GC02205149
馬山民間人虐殺眞相糾明運動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역사/근현대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경상남도 창원시
현대/현대
김주완
[상세정보]

[정의]

6·25 전쟁 당시 마산 지역에서 벌어진 양민 학살 규명을 위한 활동.

[개설]

1960년 4·19 혁명 직후, 그동안 이승만 정권에 억눌려왔던 6·25 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희생자 유족들이 진상 규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마산 지역을 시작으로 경상남도 통영·김해·밀양·동래 등 도 내 인근 지역에서도 속속 유족회가 결성되었고, 경상북도 대구·경주·경산에 이어 서울에서 전국 유족회까지 결성돼 진상 규명 운동에 나섰다. 또한 국회도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양민 학살 진상조사 특별 위원회’를 만들어 조사 활동을 벌인 결과 ‘양민 학살 사건 처리 특별 조치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건의안을 내놓기에 이른다.

그러나 박정희 등 일부 군인들이 자행한 1961년 5·16 쿠데타로 인해 이 모든 노력은 물거품이 되었고, 유족들은 오랜 시간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 유족회 간부들을 모조리 잡아들여 혁명 재판에 회부하였을 뿐 아니라 모든 활동 기록을 압수하고 합동 묘를 파헤쳤으며, 묘비까지 산산조각을 내버렸다.

[역사적 배경]

해방 후 권력을 잡은 이승만 정권은 자신의 정치적 반대자와 해방 직후 좌익 단체 가담 혐의가 있는 자들을 상시적으로 감시하고 관리·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1949년에 정부 주도로 ‘국민 보도연맹’을 조직했다.

이듬해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이 발발하자 이승만 정권은 이들이 인민군에 협력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영장도 없이 불법 예비 검속한 후 전국 곳곳의 산골짜기에서 총살하거나 바다에 수장 학살했다. 그러나 희생자 유족들은 ‘빨갱이 가족’이라는 누명과 탄압이 두려워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붕괴할 때까지 침묵을 강요당했다.

[경과]

“60년 5월 24일[화] 구름, 맑음. 상오 11시부터 하오 1시까지 ‘정부는 6·25 당시의 보련(保聯) 관계자의 행방을 알려라!! 만일 죽였다면 그 진상을 공개하라!!’라는 현수막을 들고 김용국 군과 단 둘이서 침묵의 시위를 온 시내로 하였다. 1,600명의 행방불명자의 영혼이 내 가슴에 스며드는 것 같았다”[노현섭의 일기 중에서]. 이것이 4·19 이후 최대의 현안으로 떠오른 마산 양민 학살 진상 규명 운동의 첫 기록이다. 노현섭의 이 같은 기록은 ‘경상남북도 피학살자 유족회 사건’ 공소장과 판결문에도 그대로 나오고 있다.

노현섭과 함께 침묵시위에 나섰던 김용국은 해방 후 1952년 초대 마산 시의원 출신으로 6·25 당시 고향인 경상남도 통영에서 양민 학살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경험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수산업을 하면서 이후 노현섭이 주도한 유족회 활동에 적지 않은 자금을 지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현섭[1920~1991]은 마산시 구산면[현 마산합포구 구산면] 안녕 마을 출신으로 일본 중앙 대학교 법과를 졸업한 인텔리였다. 그의 친형 노상도를 보도연맹 사건으로 잃었으며, 자신도 트럭에 실려 끌려가던 중 달리던 차에서 뛰어내려 필사의 탈출을 한 끝에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졌다. 그는 김용국과 침묵시위를 벌인 다음날부터 보도연맹 사건으로 남편이나 아버지를 잃은 유가족들의 방문을 받기 시작한다.

이즈음 국회에서도 경상남도 거창·함양·산청 및 통영·함평·남원·문경 지구 양민 학살사건에 대한 조사 결의안이 심의되고 있었다. 1960년 5월 23일 본회의에서 진상 조사 특별 위원회를 구성한 국회는 5월 31일부터 6월 10일까지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등 3개 도에 대한 진상 조사를 벌였다. 당시 경남 지역 조사단[최천·조일재·박상길 의원]은 6월 6일 마산에 들러 노현섭 등이 접수한 내용을 전달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6월 12일 마산 상공 회의소 회의실에는 소복을 입은 여인네들과 노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모두들 6·25 때 남편이나 아들·형제를 보도연맹 사건으로 잃은 후 제삿날은 물론 생사 여부도 모르고 지내온 유가족들이었다. 이날 노현섭의 일기는 “장내는 울음의 바다였다”고 전하고 있다.

노현섭·김용국·한범석·이병기 등의 주도로 이날 결성된 마산 지구 양민 학살 유가족회는 ‘학살된 자의 법적 조치 및 호적 정리’, ‘학살 관계자의 사법 처리’, ‘유족에 대한 국가의 보호 조치’, ‘유골 발굴 및 위령비 건립’ 등 4개항을 결의했다.

이날 유족회에 합류해 조직 부장을 맡은 이병기는 기자였다. 경성 실업학교 3년을 수료한 그는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 초등학교 교사와 연합 신문사 마산 지사장 겸 기자로 근무하다 양민 학살 진상 규명 사업에 나섰다.

마산 유족회를 결성한 노현섭 등은 이 문제가 마산 지역만의 활동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에 따라 노현섭·한범석·이병기 등은 때마침 경상남도 충무시[현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진상 규명 운동에 나선 탁복수[여, 1913년생]와 함께 경남 유족 연합회 및 전국 유족회 결성을 추진하고 나섰다.

8월 27일에는 마산 지역에서 대대적인 위령제가 열렸다. 옛 마산역 광장에서 열린 이날 위령제에는 소복을 입은 유족 1,000여 명이 운집, 또다시 눈물바다를 이뤘다. 이렇게 마산 위령제를 치른 바로 다음날인 28일에는 경남 지역 각 시군 유족 대표들이 부산 상공 회의소에 모두 참석한 가운데 경남 유족 연합회 결성 대회가 열렸다. 탁복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대회에서 동래 유족회 문대현이 회장으로 선출됐고, 부회장에는 탁복수·이병기·하은수[함양]가 선임됐다. 노현섭은 이사, 오음전은 부녀 부장으로 각각 선임됐다.

이들은 “민족의 원수들 손에 무참히 희생된 자의 한은 만고에 풀리지 않을 것이며, 피를 같이 한 삼천만 민족은 우리 유족의 혈소[血訴]에 지원해 달라”는 내용의 선언문 채택과 함께 전국 유족회 결성 추진을 결의했다.

경남 유족 연합회의 이 같은 결의에 의해 대구·경북 지역 유족회와 긴밀한 연락이 오간 끝에 마침내 그해 10월 20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전 자유당 중앙당부 회의실에서 전국 유족회[회장 노현섭]가 발족되었다. 이 자리에서 전국 유족회는 양민 학살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특별법 제정’을 공식 요구 사항으로 내걸고 활발한 활동에 들어갔지만, 이듬해 5·16 쿠데타로 모든 핵심 간부가 혁명 재판에 회부되고 증거 자료는 모두 압수되고 말았다.

1961년 5·16 쿠데타로 정권을 찬탈한 박정희 국가 재건 최고 회의 의장은 6월 6일 ‘국가 재건 비상 조치법’을 제정하고, 6월 21일에는 현역 군인[장교]이 재판장이 되는 ‘혁명 재판소 및 혁명 검찰부 조직법’을 만든데 이어, 바로 다음날인 22일에는 자신의 집권에 반대하는 모든 사람과 세력을 마음대로 처벌할 수 있는 ‘특수 범죄 처벌에 관한 특별법’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1961년 12월 7일 혁명 재판소 심판부 제5부[재판장 김용국, 법무사 박용채, 심판관 심훈종·이택돈·최문기]는 대구 유족회 이원식 회장을 사형에, 전국 유족회 노현섭 회장과 권중락·이삼근 경북 유족회 총무를 징역 15년에, 문대현 경남 유족 회장을 징역 10년에 처하는 판결을 내렸다.

[결과]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진실 화해 위원회, 위원장 안병욱]가 2009년 10월 ‘5·16 쿠데타 직후의 인권 침해 사건’에 대한 진실 규명 결정을 내리고, 법원의 재심과 피해자의 명예 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권고했다. 이어 2010년 6월 노현섭 등 전국의 유족회 간부들에 대해 ‘무죄’가 선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