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영혼 축복의 땅. 광야에서
펌] [속보] 미얀마서 7.7 강진에 144명 사망…태국선 30층 건물 무너져 본문
[속보] 미얀마서 7.7 강진에 144명 사망…태국선 30층 건물 무너져
TOP
댓글 0
추천 기사

미얀마 중부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미얀마는 물론, 인접한 태국 등지에서 건물 여러 채가 무너졌다. 구체적인 피해 규모는 현재 추산 중이나, 이미 다수가 매몰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28일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50분께(현지시간)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인구 120만명의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각각 떨어진 지점이다. 진원 깊이는 10㎞로 관측됐다.
1차 지진이 있고 나서 12분이 지나 규모 6.4의 여진이 같은 지역에서 일어났다. 이들 지진으로 미얀마 곳곳에서 다리와 건물 등이 붕괴, 다수 인원이 매몰되거나 다쳤다.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날 TV 연설을 통해 “지진으로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다쳤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과 중국중앙TV(CCTV)는 전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재된 사진·영상 등을 살펴보면 만달레이와 인접 사가잉시를 잇는 90년 된 다리가 무너졌다. 미얀마 중부 아웅반의 3∼4층 건물로 추정되는 호텔도 붕괴했다.
또 만달레이에서 호텔이 기울어지는 등 왕궁과 건물들이 부서졌고 거리 곳곳에 잔해와 파편이 널렸다. 만달레이와 네피도 간 고속도로도 끊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만달레이 종합병원 의료진을 인용해 현재까지 사망자가 최소 20명, 부상자가 최소 300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네피도의 병상 1000개를 갖춘 대형 종합병원에는 부상자들로 응급실이 가득 차면서 고통에 몸부림치는 환자들이 응급실 밖에서도 누워서 치료받고 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병원 관계자도 많은 사상자가 병원에 몰려들었다고 말했다. 한 만달레이 주민은 “모든 것이 흔들리기 시작하자 우리 모두가 집에서 뛰쳐나왔다”면서 “눈앞에서 5층짜리 건물이 무너지는 것을 목격했다”고 로이터 통신에 전했다.
네피도와 만달레이 공항은 폐쇄됐다.
미얀마 국영항공사인 미얀마국제항공은 SNS를 통해 지진으로 인해 추후 별도 공지가 있을 때까지 네피도, 만달레이 공항을 오가는 항공편이 취소됐다고 발표했다.
지진 발생 지역과 약 1000㎞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도 강진의 영향으로 관광 명소인 짜뚜짝 시장 근처에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 빌딩이 무너졌다. 이 사고로 건설 노동자 117명이 매몰되고, 5명이 숨졌다고 태국 구조대는 전했다.
SNS에는 건설 중이던 고층 건물이 먼지 폭풍을 일으키며 종잇장처럼 한순간에 와르르 붕괴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빠르게 확산했다.
또 방콕 곳곳의 빌딩과 아파트, 쇼핑몰 등 건물이 심하게 흔들리면서 놀란 주민들이 길거리로 황급히 뛰쳐나오는 소동도 벌어졌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본 6개 지역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인도주의 지원을 요청했다.
태국에서도 패통탄 친나왓 총리가 긴급회의를 소집해 방콕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지진 여파로 태국 증권거래소는 모든 거래를 중단했다.
태국 정부는 여진에 대비해 전철 운행을 중단시키고 고층 빌딩 등 위험 지역 출입을 통제 중이다.
강진 발생 후 미얀마 주재 한국대사관은 영사 협력원 등을 통해 현지 교민과 관광객 등 한국 국민의 피해 여부를 파악 중이다. 미얀마 한인회와 미얀마 양곤지회 등도 교민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선교 한국 > 세계는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속보] 방콕 경찰 “건설 중 고층빌딩 강진에 붕괴…사상자 파악 안돼” (0) | 2025.03.29 |
---|---|
펌] 규모 7.7 강진 덮친 미얀마… 군정 “144명 사망·732명 부상” (0) | 2025.03.29 |
펌] "미얀마 7.7 강진에 144명 사망 집계"…눈앞에서 30층 건물 와르르 (0) | 2025.03.29 |
펌) 그래서 아프리카 노리나… “中, 10년 내 세계 희토류 지배적 지위 상실” (0) | 2025.03.22 |
펌) 한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