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주님 서신 발 앞에
펌) 동방의 소국, 최초의 기독교 국가 오스로에네(Osroene)의 역사 본문
동방의 소국, 최초의 기독교 국가 오스로에네(Osroene)의 역사
국명 : 오스로에네(Osroene, Osrohene, Osrhoene)
2. 수도 : 에데사(Edessa)
3. 건국 : BC 132
4. 멸망 : AD 244 (총 376년 역사 가짐)
5. 역사
셀레우코스 왕조(Seleucid Emire, BC 312 ~ BC 63)의 쇠퇴 시기에
북아라비아에 살다가 에돔인의 지역으로 이주했던
나바테아(Nabataen, 혹은 나바타이, 아랍인의 한 분파, 학자들은 이들의 문자가 변화하여 아랍문자가 생겼다고 추측)인의
한 부족인 오르호에이(Orrhoei or Orhai)가 셀레우코스 왕조로부터 독립을 하였다.
국명인 오스로에네는 시리아을 장악한 나바테아인의 족장인 오스로에스(Osroes)의 이름으로부터 유래되었다.
그들은 시리아인들이 거주하던
유프라테스 상부(현재의 시리아와 터키의 경계, 메소포타미아 북서부)를 차지하였다.
그들의 주조한 동전에서 그들은 왕이라 불린 지배자의 지배를 받았다.
33명의 왕이 확인되었고, 왕국은 376년간 존속했다.
왕들은 주로 아브가르(Abgar or Abgarus, 아브가루스)나 마누(Manu)라고 불렸다.
아람 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시리아어를 사용하였다.
오스로에네는 주위 강국인 아르메니아, 로마, 파르티아의 종속국이었고, 주로 파르티아의 영향 아래 있었다.
BC 1C에 강대해진 아르메니아의 종속국 중에서 오스로에네를 찾을 수 있다.
(아르메니아의 종속국 : 콜키스(Kolkhis), 이베리아(Iberia), 알바니아(Albania),
메디아(Media), 아트로파테네(Atropatene),
고르디에네(Gordyene), 아디아베네(Adiabene), 소페네(Sophene),
콤마게게(Kommagene or commagene), 오스로에네(Osrhene))
강대해진 아르메니아는 세력을 더욱 키워 BC 95 ~ BC 66 사이에
시리아(Syria)와 킬리키아(Cilicia)에 세력을 확보한다.
(타르수스(Tarsos), 비블로스(Byblos, 시도(Sidon), 티레(Tyre),
다마스쿠스(Damascus), 팔미라(Palmyra)가 세력권에 들어감)
(아르메니아 속국? 시절)
BC 67년 로마의 폼페이우스는 해적 소탕을 시작으로 동방 원정을 시작한다.
BC 64년 오스로에네의 8대왕인 아브가르 2세(Abgar2 bar abgar, BC 68 ~ BC 52 or 53)는
폼페이우스의 부하인 루키우스 아프라니우스(Lucius Afranius)의 편을 들었다.
로마군은 폰투스의 미트라다네스 6세(Mithradates VI of Pontus),
아르메니아의 티그라네스(Tigranes the Great of the Kingdom of Armenia)을 격파하고
아르메니아에서 프라아테스 3세(Phraates III of Parthia )의 파르티아 세력을 몰아내고(플루타르크 폼페이우스편)
크르두에네(Corduene)까지 진격한다.
동방을 장악한 폼페이우스와 아프라니우스는 로마로 귀환한다.
(BC 60년 아프라니우스는 집정관이 된다.)
BC 60년 로마에서는 1차 삼두정(Triumviri)가 시작되었고,
BC 53년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Marcus Licinius Crassus, BC 11 ~ BC 53)의
파르티아 원정에서 오스로에네의 아브가르 2세도 참전한다.
이 원정에는 아르메니아의 아르타바데스 2세(Artavasdes II of Armenia)도 기병 1만 6천, 보병 3만과 함께 참전한다.
BC 53년 카레 전투(Battle of Carrhae)에서
아브가르2세는 파르티아의 오로데스2세(Orodes II)와 내통하여
크라수스가 무리하게 전투를 하게 만들었다고 전해지나
아브가르2세가 로마의 패전으로 얻을 것이 없었고,
카레 전투 1년 후인 BC 52년 파르티아의 오로데스2세에 의해 폐위된 것을 보면,
패전의 책임을 다른 곳에서 찾으려는 시도에서 만들어진 이야기로 추측된다.
(아브가르 2세는 디오 카시우스는 아우가루스(Augarus),
아피아누스는 아크바루스(Acbarus),
플루타르코스는 아리암네스(Ariamnes)라고 부른다)
BC 40년 파르티아의 파코루스 왕자와 로마의 망명자 라비에누스가 시리아를 침공지만
BC 39~38년 안토니우스의 장군 벤티디우스(Publius Ventidius Bassus)가
파르티아군을 격파하고, 파르티아의 세력을 동방에서 몰아낸다.
이 때 오스로에네가 어느 편에 섰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파르티아에 의해 아브가르 2세가 폐위된 후 9대왕으로 등극한 마누(Ma'nu II, BC 52 ~ BC 34)는 왕위를 지켰다.
(BC 31, 오스로에네와 그 주변)
14대,16대왕인 아브가르5세(BC 4 ~ AD7, AD 13 ~ 50,
14/16대 왕이 이름이 같은 2명의 왕일 수도 있으나 보통 같은 왕으로 본다.)는 병을 앓고 있었고,
그는 예수의 기적의 소식을 듣고 궁전화가인 한난(Hannan)의 편에 편지를 보내
예수에게 박해를 피해 에데사로 올 것을 초대한다.
그러나 예수는 이를 거절했다. 대신 예수는 다른 약속을 했다.
이 약속은 이야기마다 내용은 다르나 아래와 같다.
1. 다른 사도를 보내겠다는 약속을 했다.
(그래서 70문도 중 하나인 다대오(Thaddeus of Edessa or Addai)가 도마 사도(Thomas the Apostle)를 보냈다
or 다대오가 직접갔다(이 버전은 다대오가 에데사를 거점으로 친구인 아가이(Aggai)와 마리와 복음을 전한다.)
2. 자신의 얼굴이 그려진 아마포를 보냈다. 고 한다.
아브가르 5세는 예수의 얼굴이 그려진 아마포를 에데사의 수호 성물聖物 즉 '팔라디움palladium'으로 간주하여
성벽의 출입구에 걸게 했다. 이것이 AD 29년의 일이라고 한다.
병을 치료 받은 아브가르5세는 기독교를 국교로 만들고, 성서를 시리아어로 번역했다고 한다.
최초의 기독교 국가의 탄생인 것이다.
그는 이 이야기로 불멸의 명성을 얻고, 현대 아르메니아에서도 2009년 8월 24일 새 화폐(10만 AMD)의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화폐 뒷면은 다대오 사도가 아브가르 5세의 치료에 관한 그림을 들고 있음)
그러나 학자들은 1C 말에서 2C 초에 기독교가 오스로에네로 전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아브가르 왕의 이야기가 와전된 것으로 보는 것이다.
(아우구스투스 시대 로마의 영토, 에데사를 중심으로 하는 오스로에네는 로마의 영토/종속국에서 빠져 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파르티아나 아르메니아의 영향력 아래 있었던 것이다.)
(AD 1년, 파르티아와 그 속국들, 오스로에네가 보임)
(AD 50년, 오스로에네와 그 주변)
후에 아브가르 5세의 처남이자 아르메니아의 왕 사나트룩(Sanatruk, 개의 선물이란 뜻,
3일 동안 눈보라 속에서 갇혔는데 백색 동물의 온기로 살았다함.
그의 별칭인 사나트룩으로 추측하건데 그 동물은 개일 것이다.)이 20대 오스로에네의 왕이 된다.
(아르메니아 왕으로는 AD 88년에, 오스로에네의 왕으로는 91년에 등극, AD 109 혹은 110년 사망)
21대왕 아브가르 7세 (AD 109 ~ 116)의 치세 중인
AD 116년 트라야누스는 파르티아 원정에 착수한다.
디오 카시우스 로마사 68권 18장에 따르면
아브가르 7세(흔히 아브가루스(Abgarus))는 안티오크에 도착한 트라야누스에게
선물과 호의의 메세지를 전했다고 한다.
디오 카시우스는 아브가르 7세가 로마와 파르티아 모두를 두려워했고,
중립을 지키려 했고, 선물과 호의의 메세지를 보낼 때 직접 오지는 않았다고 전한다.
그러나 로마군은 아르메니아, 오스로에스, 파르티아로의 군사작전을 진행한다.
다키아 전쟁에서 기병 보조부대를 지휘했던
루키우스 쿠이에투스(Lucius Quietus, 후에 하드리아누스에 의해 해임)가 에데사와 니시비스(Nisibis)를 약탈한다.
이때 오스로에네 왕국은 로마에 점령된다.
로마군은 파르티아의 수도 크테시폰(Ctesiphon)을 점령하고 인도양까지 진격한다.
그러나 파르티아는 저항을 계속하고, 트라야누스는 막시무스(Maximus)와 루키우스를 보내 저항을 분쇄하게 한다.
그러나 막시무스가 전사하고, 파르티아는 완전히 진압되지 않는다.
트라야누스는 오스로에스 1세(Osroes I)의 아들
파르타마스파테스(Parthamaspates of Parthia)를 파르티아의 왕으로 임명한다.
AD 117년 트라야누스가 죽고, 하드리아누스가 황제가 된다.
파르티아에서는 파르타마스파테스가 쫓겨나는 등 전황이 좋지 않았다.
하드리아누스는 점령한 지역에서 철수를 시작하는 것으로 전쟁을 끝냈다.
(로마의 속주인 오스로에네, 위키피디아에서는 AD 120년 이라는데, AD 118년이 아닐까 한다.)
AD 118년 하드리아누스는 오스로에네를 다시금 왕이 통치하게 한다.
하드리아누스는 얄루르(Yalur)와 파르티아의 왕좌에서 쫓겨난 파르타마스파테스를 공동왕으로 삼는다.
하드리아누스는 파르티아의 영토는 포기했지만 오스로에네를 속국으로 만들어서 로마의 영향아래 둔 것이다.
AD 122년 얄루르가 죽자 파르타마스파테스는 단독왕이 된다.
AD 123년 파르타마스파테스가 죽고 마누 7세(AD 123 ~ 139)가 왕이 된다.
AD 177년 아브가르 9세가 등극하고 기독교인이었던 그는 기독교인들을 우대하였다.
아마 이 시기에 기독교가 국교가 되거나, 기독교가 우대된 것이
아브가르 5세 때의 일로 인식되어 예수와 아브가르 5세 사이의 이야기가 생긴 것으로 보기도 한다.
<아우렐리우스 황제 사망(AD 180) 로마 영토에서는 오스로에네가
로마 제정 초기와 달리 로마의 속국이라 로마의 영토에 포함되어 나타난다.>
AD 214년 세베루스로 불리는 아브가르 10세(AD 212 ~ 214)가 카라칼라 황제에 의해 살해된다.
AD 215년 카라칼라는 파르티아와 전쟁을 시작하나
파르티아의 볼로가세스 5세가 카라칼라의 요구를 들어주어 전쟁은 중단된다.
AD 217년 카라칼라는 에데사를 로마에 편입시켰다. 카라칼라가 마르키누스에 의해 암살된다.
AD 224년 파르티아 멸망, 사산조 페르시아 건국
카라칼라에 의해 왕이 죽은 이후에도 오스로에네는 왕들의 손에 통치된 것으로 보이나
AD 244년 데키우스 황제에 의해 오스로에네는 완전히 로마의 속주에 병합된다.
셀레우코스 왕조의 공백을 틈타 독립한 오스로에네는 건국 후
주변 강국의 틈바구니에서 간신히 독립을 유지하다가 끝내는 멸망한 것이다.
그리고 오스로에네의 수도 에데사는 페르시아에 대한 로마의 군사 작전의 거점이 된다.
(제정 시대에 파르티아와의 대규모 전쟁 혹은
다른 방식 등으로 동방에서의 영토를 지속적으로 늘려가는 로마의 집념은 정말 대단합니다.)
AD 293년 사신조 왕조의 내전에서 나르세스 1세(Narseh)의 승리가
기록된 파이쿨리의 비문(Paikuli inscription)에 주변의 소왕국의 왕들의 이름이 있는데 암루(Amru)라는 왕이 기록되어 있는데
보통 라흠 왕국(Lakhmid Kingdom, 3C ~ 6C)의 왕인 암루 이븐 아디(Amru ibn Adi)로 보나
오스로에네의 아브가르의 후손으로 보기도 한다.
아마도 오스로에네는 로마에 흡수되었지만,
오스로에네 왕가의 후손이 일정 세력을 가지고 파르티아나 페르시아 세력 내에 있었을 수도 있고,
그들의 후손이 라흠 왕국을 세웠을 수도 있지만 정확한 사실은 알 수 없다.
개인적으로는 오스로에네의 왕가가 아랍인의 분파라고 하지만
본인들이 300년이 넘게 지배하는 곳을 따나 다른 곳에 거점을 만들긴 어렵다고 본다.
하란에 거점을 둔 라흠 왕국과 오스로에네이 혼인 등으로 인해 연계가 있었을 수는 있지만 역시 정확한 사실은 알 수 없다.
(라흠 왕국의 거점은 초창기에 하란(Harran)에서 알-히라(Al-Hirah)로 바뀐다)
오스로에네는 세계 최초의 기독교 국가로 예수와 아브가르 왕의 일화,
예수의 얼굴이 그려진 아마포(이콘의 기원이 되었다고 함)로 유명했고, 동방의 기독교 근거지 중 하나가 되었다.
기독교의 근거지였던 에데사는 AD 638년 이슬람 세력에게 함락된다.
6. 오스로에네의 통치자들
Aryu (132–127 BC) : 개인적으로는 이 사람이 오스로에스일 것 같음(정확하지 않음)
Abdu bar Maz'ur (127–120 BC)
Fradhasht bar Gebar'u (120–115 BC)
Bakru I bar Fradhasht (115–112 BC)
Bakru II bar Bakru (112–94 BC)
Ma'nu I (94 BC)
Abgar I Piqa (94–68 BC)
Abgar II bar Abgar (68–52 BC)
Ma'nu II (52–34 BC)
Paqor (34–29 BC)
Abgar III (29–26 BC)
Abgar IV Sumaqa (26–23 BC)
Ma'nu III Saphul (23–4 BC)
Abgar V Ukkama bar Ma'nu (Abgarus of Edessa) (4 BC–AD 7)
Ma'nu IV bar Ma'nu (AD 7–13)
Abgar V Ukkama bar Ma'nu (13–50)
Ma'nu V bar Abgar (50–57)
Ma'nu VI bar Abgar (57–71)
Abgar VI bar Ma'nu (71–91)
Sanatruk (91–109)
Abgar VII bar Ezad (109–116)
로마 점령 116–118
Yalur (118–122, co-ruler with Parthamaspates)
Parthamaspates (118–123)
Ma'nu VII bar Ezad (123–139)
Ma'nu VIII bar Ma'nu (139–163)
Wa'il bar Sahru (163–165)
Ma'nu VIII bar Ma'nu (165–167)
Abgar VIII (167–177)
Abgar IX (the great) (177–212)
Abgar X Severus bar Ma'nu (212–214)
Abgar (X) Severus Bar Abgar (IX) Rabo (214–216)
Ma’nu (IX) Bar Abgar (X) Severus (216–242)
Abgar (XI) Farhat Bar Ma’nu (IX) (242–244)
'선교 한국 > 삶을 살아가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크로노스(Κρόνος)와 카이로스(Καιρός) (0) | 2025.01.02 |
---|---|
펌) 이 나이에도 아직 설렐수 있구나 (0) | 2024.10.11 |
펌) 동방의 소국, 최초의 기독교 국가 오스로에네(Osroene)의 역사 (0) | 2016.02.08 |
펌 ) 세상이 100명의 마을이라면... (0) | 2015.09.14 |
펌) '최초 기독교국가' 아르메니아는 어떤 나라 (0) | 2014.07.02 |